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037
한자 城隍山[水城洞]
영어공식명칭 Seonghwangsa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수성동|구룡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유승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성황산[수성동]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해당 지역 소재지 성황산[수성동]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수성동|구룡동지도보기
성격
높이 168.5m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수성동구룡동 경계에 있는 산.

[명칭 유래]

성황산(城隍山)[수성동]은 성황사에서 유래한 것이라 추정된다.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성황단은 읍 북쪽 주산(主山) 2리[약 0.8㎞]에 있다”라고 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의 “성황사는 응산(鷹山)에 있다”는 기록과 『동국여지지(東國輿地誌)』의 “성황사는 현 북쪽 1리[약 0.4㎞] 응산에 있다”는 기록으로 보아 예전에는 응산으로 불렀음을 알 수 있다. 응산은 산의 생김새가 마치 매가 웅크리고 앉아 있는 모양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매봉, 매산을 한자화한 것이다. 산을 뜻하는 ‘뫼’가 매로 발음되기 때문에 한자로 옮기는 과정에서 ‘매’ 자를 ‘응(鷹)’ 자로 써서 산의 뜻이 중첩된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자연환경]

성황산[수성동]은 중생대 쥐라기 중기에 관입한 대보 화강암에 속하는 복운모 화강암에 해당한다. 복운모 화강암은 화강암보다 흑운모의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수분이 풍부한 곳에서는 화학적 풍화와 침식에 약하기 때문에 차별 침식을 받아 저기복 구릉성 산지를 형성한다. 고당산에서 뻗어 내린 산줄기가 칠보산을 거쳐 성황산으로 이어지고, 성황산에서 다시 두락봉으로 이어진다. 성황산 북쪽 사면에서 발원한 용우천이 북류하여 한교천을 거쳐 정읍천으로 흘러 동진강에 합류한다.

[현황]

성황산정읍시 수성동구룡동 경계에 있는 높이 168.5m의 산이다. 경위도상으로는 북위 35° 34' 19.38", 동경 126° 51' 44.41"이다. 정읍시의 주산이며, 정읍 시가지 북쪽을 감싸고 있다. 성황산 남쪽으로 정읍향교정읍동초등학교가 있으며, 서쪽 기슭에 충무공 이순신의 사당인 충렬사와 독립운동가 박준승의 묘, 6·25전쟁 희생 영령을 기리는 충혼탑 등으로 구성된 충무공원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