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039 |
---|---|
한자 | 墨方山 |
영어공식명칭 | Mukbangsan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 종산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유승상 |
전구간 | 묵방산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임실군 |
---|---|
해당 지역 소재지 | 묵방산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 종산리
![]() |
성격 | 산 |
높이 | 538m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 종산리와 임실군 운암면 마암리 경계에 있는 산.
[명칭 유래]
먹은 소나무 가지나 뿌리를 태워서 그을음을 채취하여 만들기 때문에 산기슭이나 산속에 먹방이 있는 경우가 있다. 묵방산(墨方山)의 유래를 먹방이 있었다는 것에 두는 경우가 있지만 산외면 묵방산에 먹을 만드는 먹방이 있었는지는 확인하기 어렵다. 『대동지지(大東地志)』와 『여지고(輿地考)』에 “묵방산은 동남쪽 45리[약 18㎞]에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호남지도(湖南地圖)』에는 산외면의 상두산 줄기가 남쪽으로 이어진 곳에 묵방산이 묘사되어 있으며,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청구도(靑邱圖)』 등에는 읍치 남서쪽에 묵방산이 표기되어 있다.
[자연환경]
묵방산은 중생대 백악기 회문산 응회암 지층으로 회백색 조면암질, 황백색 조면암질, 안산암질 응회암이 대표적 암상이다. 북쪽의 엄재를 지나 오봉산, 국사봉, 경각산으로 산줄기가 이어진다. 묵방산 남쪽에 여우치(如牛峙)가 있으며, 성옥산, 왕자산, 구절재, 고당산으로 이어진다. 묵방산 동쪽에는 섬진강 옥정호가 있고, 서쪽 사면에서 상하천이 발원하여 북서류하다가 동진강에 합류한다. 정상은 나무로 둘러싸여 전망은 좋지 않다.
[현황]
묵방산은 정읍시 산외면 종산리와 임실군 운암면 마암리의 경계를 이루는 높이 538m의 산이다. 경위도상으로는 북위 35° 36' 35.18", 동경 127° 05' 35.97"이다. 묵방산은 호남정맥을 찾는 사람들은 꼭 오르는 산이지만 일반인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은 산이다. 묵방산 남쪽 산외면 종산리 팽나무정마을에서 오르거나, 소가 누워 있는 것처럼 생겼다는 마암리와 종산리 사이의 고개 여우치에서 오른다. 산외면 여우치마을에는 마을 사람들이 세운 ‘동진강 발원지 빈시암’ 표지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