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248 |
---|---|
한자 | 宗山里 |
영어공식명칭 | Jongsan-ri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 종산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허인욱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종산리(宗山里)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본래 태인군 산내일변면(山內一邊面)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여우리(如牛里), 하쌍리(下雙里), 원전리(元田里)와 임실군 하운면(下雲面) 여우치(如牛峙)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산내면 종산리로 개설되었다. 1973년 7월 1일 대통령령 제 6542호에 의한 행정 구역 조정에 따라 산내면에서 산외면에 편입되어 전라북도 정읍군 산외면 종산리로 개편되었다. 1995년 1월 1일 전국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와 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산외면 종산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 종산리가 되었다.
『1872년 지방지도』[태인현]에는 여우치(如牛峙)·원바실[元田]·종암(宗岩)이,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1912년]에는 산내일변면에 송운동(松雲洞)·종산리(鍾山里)·원바실[元田里]·하쌍리(下雙里)·여중치(如中峙)가, 또 『정읍군지』[1936년]의 산내면 조에는 종산리(宗山里)·원바실[元田里]·송운동(松雲洞)·여우치(如牛峙)가, 『태인지』[1965년]에는 송장동(送將洞)·종산(宗山)·원바실[元田]·여우치(如牛峙)가, 『증보 정읍군지』[1974년]에는 산외면 종산리에 여우리(如牛里)·하쌍리(下雙里)·원전리(元田里)[태인군 산내일변면]·여우치(如愚峙)·일리(一里)[임실군 하운면]가 자연 마을로 기재되어 있다.
[자연환경]
종산리는 묵방산이 동북부에 있고 성옥산이 남쪽 경계부에 있다. 빈시암[빈샘]에서 흘러내린 물줄기는 여우치마을을 가로질러 산외면 종산리 팽나무정마을 앞까지 약 2~3㎞를 흘러 내려와 반대쪽 성옥산 중턱에서 내려오는 옥정호 취수 터널의 큰 물줄기를 만나 동진강의 본류를 형성한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면적은 7.75㎢이며, 인구는 86가구, 133명[남자 72명, 여자 61명]이다. 종산리는 산외면의 남동부에 있으며, 동쪽으로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운암면 마암리, 서쪽으로 목욕리, 남쪽으로 목욕리, 임실군 운암면 운정리, 북쪽으로 정량리, 화죽리와 접하고 있다.
종산리의 자연 마을로는 종산1리에 원종산마을, 종산2리에 원바실마을, 여우치(如牛峙)마을이 있다. 여우치마을은 임실 여우치마을과 본래 같은 마을이었다. 종산1리에는 1931년 준공된 남한 지역 최초의 수력 발전소인 운암수력발전소가 있었으나 현재는 폐쇄되었으며, 의료 기관으로 종산보건진료소가 있다. 종산2리에는 칠보성당 종산공소가 있다. 인구 증가와 더불어 1957년 산외면 동부 지역의 거점인 종산리에 종산초등학교가 세워졌으나, 이후 산업화에 따른 이촌 향도 현상으로 인하여 1999년 폐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