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047
한자 楚山
영어공식명칭 Chosa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동|과교동|교암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유승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초산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해당 지역 소재지 초산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동|과교동|교암동지도보기
성격
높이 232.2m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동과교동, 교암동에 걸쳐 있는 산.

[명칭 유래]

초산(楚山)은 삼한 시대 마한 지역에 속한 초산도비리국(楚山塗卑離國)이라는 소국가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여지도서(輿地圖書)』, 『호남읍지(湖南邑誌)』, 『읍지(邑誌)』 등에 “초산고성(楚山古城)은 관아의 남쪽 초산 아래에 있다. 민간에 전하는 말에 의하면 옛 읍의 터라고 한다”라는 관련 기록이 있다. 한편, 『신증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등에 의하면 초산은 정읍현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1872년 지방지도』에 읍치 남쪽에 초산이 표기되어 있으며, 산 아래로 고읍기(古邑基)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 밖에도 『호남지도(湖南地圖)』, 『해동지도(海東地圖)』,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등에 초산이 수록되어 있다. 장봉선의 『정읍군지(井邑郡誌)』는 중국의 초산과 같다 하여 초산이라 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자연환경]

초산은 중생대 쥐라기 중기에 관입한 대보 화강암에 속하는 복운모 화강암에 해당한다. 복운모 화강암은 화강암보다 흑운모의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수분이 풍부한 곳에서는 화학적 풍화와 침식에 약하기 때문에 차별 침식을 받아 저기복 구릉성 산지를 형성한다. 내장산에서 뻗어 내린 산줄기가 아양산을 거쳐 초산으로 이어지고, 초산에서 다시 망상봉, 죽지봉으로 연결된다. 남쪽 사면에서 발원한 하천은 신월천, 용산천, 천원천을 거쳐 정읍천에 합류한다.

[현황]

초산정읍시 시기동과교동, 교암동에 걸쳐 있는 높이 232.2m의 산이다. 경위도상으로는 북위 35° 33' 10.19", 동경 126° 50' 45.58"이다. 초산은 시가지 바로 남쪽에 인접하여 있으며, 산 정상에 초산성지(楚山城址)가 있다. 초산성지는 삼한 시대 마한에 속한 초산도비리국의 유적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한 후백제 견훤이 고려 태조 왕건과 각축을 벌일 때 축조한 요새이거나 고려 시대에 몽고군과 왜군의 침략을 대비하여 수축한 산성으로도 여겨진다. 초산 아래 시가지 쪽으로 호남중학교호남고등학교가 있으며, 초산아양산 능선 사이에는 시기동교암동을 잇는 싸리재라는 고개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