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087
한자 梨坪平野
영어공식명칭 Ipyeongpyeongya Plain
이칭/별칭 배들,배들평야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하송리|팔선리|두전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봉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이평평야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해당 지역 소재지 이평평야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 하송리|팔선리|두전리지도보기
성격 평야
면적 약 5㎢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 하송리·팔선리·두전리에 걸쳐 있는 평야.

[명칭 유래]

이평평야(梨坪平野)의 ‘이평’은 정읍천동진강의 합류부 서쪽에 펼쳐진 평야를 가리키는 ‘배들’을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서 견천(犬川)[현 용호천]을 “이평에 이르러 남천과 합친다”라고 설명한 것으로 보아 ‘이평’이라는 지명은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 왜 배들이라고 불렀는지는 정확히 알기 어려우나 크게 두 가지로 추정할 수 있다. ‘이평’의 ‘이’는 배를 가리키는 말인데, 이로 미루어 현재에는 배나무를 찾아보기 어려우나 과거 배나무가 많았던 때가 있어 배가 많이 나오는 곳이라는 뜻으로 이름 붙였을 수 있다. 또한 이평평야 일대가 현재는 하천의 퇴적과 간척으로 바다에서 멀리 떨어졌으나 과거에는 감조 구역으로 배가 서해에서부터 거슬러 올라오는 길목이었으며, 배들이 많이 왕래하는 평야라 하여 배들이라고 부르던 것이 음차 과정에서 배 이(梨)로 변화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자연환경]

이평평야이평면 북동부의 정읍천동진강에 합류하는 연안에 펼쳐진 넓은 충적평야이다. 북쪽은 동진강, 동쪽은 정읍천, 서쪽은 부안군 백산면, 남쪽은 면 소재지가 있는 구릉이 경계를 이루며, 동진강 맞은편에 신태인평야가 있다.

[현황]

이평평야『정읍시사』에서 하송마을 북쪽 동진강 가에 있는 넓은 들이며, 넓이가 500정보[약 5㎢] 정도 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평평야는 논농사 중심의 주곡 농업이 발달하였으며, 남서부의 구릉 지대에서는 과수 재배를 비롯하여 잎담배 재배와 젖소 사육이 이루어진다.

이평평야 인근의 문화재로는 정읍천 하구에 있는 만석보지(萬石洑址)[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와 이평면 하송리 예동마을의 만석보 혁파비(萬石洑 革罷碑)가 있다. 만석보는 1838년(헌종 4) 고부군수 안길수가 농업용 수리 시설로 쌓은 제방인데, 후임자 조병갑이 멀쩡한 보 아래에 새로운 보를 쌓아 주민들의 원성을 샀으며, 이후 부당한 세금 징수로 전봉준이 이끈 동학혁명의 직접적 원인이 되었다. 1894년 동학농민운동의 발발로 파괴되었으며, 현재는 1973년 건립한 만석보 유지비(萬石洑 遺址碑)가 역사의 현장임을 알려 주고 있다. 배들은 만석보에서 물을 끌어다 농사를 지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