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068
한자 東津江
영어공식명칭 Dongjingang River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옹동면|태인면|정우면|신태인읍|이평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봉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동진강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김제시|부안군
해당 지역 소재지 동진강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칠보면|옹동면|태인면|정우면|신태인읍|이평면지도보기
성격 하천
면적 1,136.2㎢[유역 면적]
길이 51.0㎞[유로 연장]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에서 발원하여 칠보면, 옹동면, 태인면, 정우면, 신태인읍, 이평면을 흘러 김제시와 부안군에서 새만금으로 유입하는 국가 하천 및 지방 하천.

[개설]

동진강(東津江)은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의 중심 하천이며, 동경 126°에서 127° 및 북위 35°에 걸쳐 있다. 유역 면적으로 한반도에서 15번째에 해당하는 큰 강이다. 정읍시의 동쪽에서 시작하여 서해로 유입하고 있으며, 동쪽으로 섬진강, 북쪽으로 만경강, 남쪽으로 영산강을 경계로 한다.

[명칭 유래]

동진강은 부안군 동진면을 흐르는 강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동진은 부안군의 동쪽에 있던 동진나루를 뜻한다. ‘동진’의 별칭으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언급된 ‘통진(通津)’은 서해로 통하는 나루터를 뜻하는 이름으로 풀이된다.

[자연환경]

동진강은 정읍시와 김제시, 부안군을 흐르며 호남평야를 이루는 하천이다. 정읍시 산외면 종산리 여우치마을의 빈시암에서 발원한다. 이후 평사리천을 이루고 북서쪽으로 흘러 산외면 소재지에서 남서쪽으로 방향을 잠시 바꾸었다가, 칠보면 소재지에서 다시 북서쪽으로 전환하여 정읍시의 면 지역을 관류하고, 신태인읍 화호리를 끝으로 정읍에서 김제시와 부안군으로 흘러가는 하천이다.

동진강의 발원지에 대하여는 여러 의견이 있었다. 평사리천의 빈시암, 정읍천 발원지인 까치샘, 산외면 상두리 국사봉 남쪽 사면 등이 제시되었으나, 현재는 묵방산 아래의 빈시암을 발원지로 보는 의견이 유력한 듯하다. 평사리천이 하구에서부터 최상류로의 거리가 가장 길고, 유역 변경에 따른 것이긴 하지만 유량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동진강은 연안의 간척과 용수 확보를 위하여 직강화, 제방 축조, 관개수로 개설로 자연 하천의 모습은 거의 사라졌다. 상류에서부터 곧게 펴진 하도는 지극히 완만하게 곡류하고 있으며, 하천 양쪽 기슭 제방 내에서 유로가 구불거리며 흐르고, 유로의 주변에 쌓인 퇴적층이 농경지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는 직강화되어 쭉 뻗은 하도를 흐르지만 행정 구역 경계를 통하여 일부 과거 자유곡류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즉, 신태인읍이평면의 경계, 신태인읍과 부안군의 경계가 동진강 하도를 중심으로 좌우로 심하게 구불구불한 모양새에서 자유곡류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동진강으로 유입되는 지류 하천으로는 국가 하천인 정읍천원평천, 고부천이 있다. 지방 하천으로는 최상류 산외면에서 상두천, 암치천, 정량천, 동곡천, 신배천, 주곡천이 유입되며, 칠보면에서는 칠보천, 은석천, 사제천, 은석천이 유입된다. 옹동면을 지날 때는 수약천, 노현천, 척곡천, 내칠천, 용호천이 유입되고, 태인면을 지나면서 신내천이 유입된다. 이평면에서는 덕천천이, 신태인읍에서는 화호천이 유입된다.

[현황]

동진강의 유역 면적은 1,136.2㎢이며, 유로 연장은 51.0㎞이다. 최상류인 산외면칠보면에서는 산지 하천의 성격을 띠지만 칠보면을 나와 옹동면 이후로부터는 군데군데 구릉과 야산이 퍼져 있을 뿐 대부분 평탄한 지형을 흐르며, 광활한 평야가 전개되어 곡창 지대인 호남평야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동진강은 만경강과 함께 드넓은 호남평야에 농업용수를 제공하는 하천이며, 물 자원 이용량의 대부분이 농업용수이다. 그러나 과거에는 유량이 많지 않은 소규모 하천이어서 부족한 유량으로 인근의 넓은 농경지를 적시기는 부족하였기에 예부터 벽골제와 같은 수리 시설이 발달하였다. 근대 이후로 쌀 생산량 증대를 위한 농업용수 공급을 위하여 섬진강 상류에 운암댐[섬진강댐]을 조성하고 가둬 확보한 물을 유역 변경하여 동진강으로 끌어들이면서 유량이 풍부하여졌다. 유역 변경하면서 발생하는 낙차를 이용하여 과거 운암수력발전소를 가동하였으며, 현재는 칠보수력발전소를 가동하고 있다.

옥정호의 운암 취수구에서 산외면 종산리 팽나무정마을 앞으로 유역 변경된 물은 동진강을 따라 흘러가다가 태인면 낙양리 낙양 취수문에서 김제간선, 정읍간선을 통하여 부족한 수량을 보충하여 주고 있다. 칠보 취수구에서 칠보수력발전소로 공급된 물은 동진강 도수로를 통하여 정읍시와 부안군 지역을 관개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