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340
한자 平野
영어공식명칭 Plai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봉준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있는 넓고 평탄한 들.

[개설]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있는 평야는 호남평야라고도 한다. 호남평야는 동진강 연변에 있는 김제평야와 만경강 연변에 있는 만경평야를 묶어서 가리키는 표현이다.

정읍시·김제시·부안군에 있는 김제평야는 조차가 큰 서해로 유입하는 하천을 가진 평야이다. 하천 양안에 하천 운반 물질이 쌓여 형성된 충적 평야와 갯벌의 간척지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나라의 큰 강 하류의 범람원들은 빙기에 깊게 파인 계곡에 후빙기 해수면 상승으로 하천의 토사가 현재 해수면을 기준으로 퇴적되면서 형성된 것이어서 고도가 아주 낮은 편이다. 김제평야도 하천의 범람원으로 고도가 10m 내외로 낮은 편이며, 평야 곳곳에 야산으로 불리는 충적층으로 덮이지 않은 구릉이 분포한다. 주변 평야에 비하여 고도가 높은 편이어서 침수의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낮아 취락이 분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읍 지역의 평야]

동진강 주변의 평야로는 상류에서부터 산외평야, 칠보평야, 보림평야, 거산평야, 궁사평야, 신태인평야, 화호평야, 청당평야, 이평평야가 있다. 산외평야는 산외면 오공리·평사리·정량리에 이르는 동진강 상류에 발달한 평야이다. 칠보평야는 축현천 유역인 칠보면 백암리, 태인면 태남리·오류리, 북면 마정리 일대의 평야이며, 과거 명천평야였다고 한다. 보림평야는 북면 보림리, 마정리의 보림천 일대에 있다. 거산평야는 태인면 거산리·태서리·매계리·태창리 일대의 평야이다. 궁사평야는 태인면 궁사리·낙양리 등에 펼쳐져 있다. 신태인평야는 신태인읍 신태인리에서 우령리, 양괴리에 걸쳐 있는 평야이며, 서쪽으로 화호평야가 신태인읍 신덕리에서 화호리에 걸쳐 펼쳐져 있다. 청당평야는 신태인읍 청천리 화호천 주변의 평야이다. 이평평야이평면 북동부의 정읍천동진강에 합류하는 연안에 펼쳐진 넓은 충적 평야인데 팔선리·하송리·두전리에 걸쳐 있다.

원평천 일대에 속한 평야로는 방교평야, 유정평야, 삼평평야가 있다. 방교평야는 감곡면 방교리에 속한 감곡천 일대의 평야이며, 방교평야 서쪽 감곡천원평천의 합류부 인근 유정리에 유정평야가 있다. 유정평야의 서쪽 삼평리에는 원평천 인근에 됏평들이라고 부르는 삼평평야가 있다.

정읍천 주변으로는 삼보평야, 초강평야, 수금평야, 한교평야, 우일평야, 입암평야 등이 펼쳐져 있다. 삼보평야상평동에서 하모동·공평동·농소동에 이르는 평야이며, 초강평야는 정우면 초강리 정우면 소재지 서쪽에 있는 평야인데, 과거 야리평야로 불렀다고 한다. 수금평야는 초강평야 북쪽 수금리에 있으며, 과거 구강평야라고 불렀다고 한다. 한교평야와 우일평야는 정읍천으로 유입하는 한교천 하류 인근의 평야이며, 각각 북면 남산리정우면 우일리에 걸쳐 있다. 입암평야는 정읍천으로 유입하는 입암면천원천 주변에 펼쳐진 평야이다.

고부천 인근에는 소성평야, 고부평야가 있다. 소성평야는 소성면 애당리, 용정리소성천 상류 인근의 평야이며, 수양평야라고 하였다. 고부평야는 고부면 백운리에서 강고리·신흥리·관청리에 이르며, 옛 명칭은 율지평야이다. 덕천천 상류의 도계평야는 덕천면 도계리에 있다.

[현황]

정읍시의 평야는 대부분 논으로 이용된다. 김제평야는 남한에서 가장 넓으며, 고도가 5m 내외로 아주 낮은 편이다. 동진강원평천, 정읍천, 고부천, 덕천천 등이 평야를 관류한다. 김제평야는 일제 강점기인 1925년 동진수리조합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이전에도 고부천 눌제, 정읍천 만석보 등의 수리 시설이 있었으나, 드넓은 평야에 용수를 공급하기에는 유량이 부족하였을 것이다. 인근의 농경지들은 천수답의 역사가 길고, 크고 작은 저수지와 소류지가 셀 수 없이 많이 축조되어 있다. 근대 이후로 농업용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옥정호섬진강 물을 유역 변경하여 동진강으로 끌어들이고, 다시 여러 개의 도수로를 통하여 호남평야 각지로 공급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