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140
한자 古阜里
영어공식명칭 Gobu-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진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고부면 고부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고부면 고부리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로 개편
성격 법정리
면적 1.17㎢
가구수 141가구
인구[남/여] 163명[남 82명|여 81명]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백제 시대의 고사부리군을 신라 경덕왕 때 고부로 줄여 쓰기 시작한 데서부터 고부리(古阜里) 이름이 유래되었다. 고려 초에 입석리에 치소를 둔 영주와 안남도호부라는 명칭을 쓴 때를 제외하고 조선 시대를 거쳐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고부군이 폐군이 될 때까지 치소로 기능하였다.

[형성 및 변천]

본래 고부군 남부면(南部面) 구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상평리(上坪里), 하평리(下坪里), 남산리(南山里), 외남리(外南里)와 동부면(東部面) 허문리(許門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고부면 고부리로 개설되었다. 1995년 1월 1일 전국적인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고부리두승산에서 분기한 성황산의 서남부를 차지하고 있으며 남산(南山)의 거의 전부가 고부리에 속한다. 두승산, 성황산, 남산에 둘러싸인 분지 형태를 하고 있으며, 군자정이 자리한 연지를 거쳐 서쪽에 있는 당덕제로 물길이 이어진다. 남산 동남쪽에 동서로 길게 남산마을이 있다. 남산마을 앞 농경지 가운데로 두승산 계곡의 물줄기가 흐른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고부리의 면적은 1.17㎢이며, 인구는 141가구, 163명[남자 82명, 여자 81명]이다. 고부리고부면의 중앙부 위쪽에 있으며, 동쪽으로 장문리, 남복리, 서쪽으로 용흥리, 남쪽으로 덕안리, 입석리, 북쪽으로 영원면 후지리와 접하고 있다. 고부마을, 교동마을, 남산마을 3개 행정리가 있다.

고부리는 고부면행정복지센터, 고부파출소, 고부우체국, 고부종합복지회관, 동학울림센터고부면의 주요 관공서 및 기관 단체가 자리하고 있는 면 소재지이다. 2019년 4월 준공된 동학울림센터는 고부면민들의 문화 체육 시설로 기능하고 있으며 내부에 동학농민혁명 전시관이 있다. 교육 기관으로는 정읍 지역에서 가장 먼저 1906년 설립된 고부초등학교가 있으며, 학교 앞에는 고부작은도서관과, 고부실내게이트볼장이 있다.

영주로가 고부리의 가운데를 동서로 지나며, 영주로와 교동2길이 상가가 밀집하여 있는 상업 중심지이다. 주민들은 주로 상업과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문화유산으로 고부관아터[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고부향교, 고부향교대성전[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군자정[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이 있다. 정읍 고사부리성[사적]의 서문지와 남문지를 비롯한 성(城)의 3분의 1이 고부리에 속한다. 고부향교대성전으로 올라가는 돌계단 양쪽에 있는 은행나무 2그루 중 오른쪽 은행나무는 수령이 400년 이상이며 1997년 보호수로 지정되었다.

국도 제29호는 원래 면 소재지를 경유하였으나 1998년 12월 고부면 입석리~장문리 1.62㎞ 구간인 우회 도로가 개통되었고, 2013년 12월 정읍~신태인간 국도 제29호 1공구[정읍시 용계동~영원면 후지리] 9.216㎞가 확장 개통되었다. 이에 따라 신설된 국도 제29호가 남산의 서쪽을 지나 성황산 뒤편으로 연결되면서 고부리는 구 국도 제29호와 우회 도로 및 신 국도 제29호에 둘러싸인 형태가 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