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161 |
---|---|
한자 | 下鶴里 |
영어공식명칭 | Hahak-ri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진우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두승산 동쪽에는 상학, 중학, 하학 등 오학(五鶴)이 있다고 하며, 황새메 아래쪽에 하학마을이 있어 하학리(下鶴里) 명칭의 유래가 되었다. 두승산 아래로 높은 쪽에는 상학리가 있고 낮은 쪽에는 하학리가 있다.
[형성 및 변천]
본래 고부군 우덕면(優德面)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중학리(中鶴里), 하학리, 장문리(長門里), 신덕리(新德里), 가정리(佳井里)와 답내면(沓內面) 신장리(新長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덕천면 하학리로 개설되었다. 1995년 1월 1일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와 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하학리는 두승산 아래 자리하고 있으며 주변에 황새메, 깃대봉, 천치, 황토현 등 낮은 산이 있다. 두승산에 접한 일부 구역을 제외하고 대부분이 중산간 지대에 자리하고 있다. 치재에서 발원한 덕천천이 들판 가운데로 흐르고 있다. 예로부터 고부와 태인을 잇는 태고선이 황토현을 지나 도계천을 건너 천치재로 연결된다. 중하마을 서쪽의 돌짐재는 과거 고부읍으로 연결되는 중요한 고개였다. 현재는 모두 도로 포장이 되었다. 저수 시설로는 장문제와 가정제가 있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하학리의 면적은 4.27㎢이며, 인구는 253명[남자 132명, 여자 121명]이다. 하학리는 덕천면의 서쪽에 있으며, 동쪽으로 신월리, 우덕리, 서쪽으로 고부면 장문리, 남쪽으로 상학리, 북쪽으로 도계리와 접하고 있다.
하학리는 가정(佳井)마을, 장문(長文)[혹은 長門]마을, 중하마을의 3개 행정리에 걸쳐 있다. 가정마을은 황토현 서쪽에 있으며 마을 앞에 사시사철 끊임없이 솟아나는 맑은 우물이 있어 붙여진 명칭이다. 장문마을은 문과에 급제한 사람이 많고, 고부군과 태인현을 잇는 태고선이 있어 두 고을의 원이 자주 방문하여 긴 글로 문장을 하고, 쉬기도 하였다고 하나 근거는 명확하지 않다. 중하마을은 중학마을과 하학마을을 합하여 한 마을을 이루고 있다. 중학은 하학 서남쪽에 있는 마을로, 오학 중에 가운데 있는 마을이다.
하학리는 벼농사와 소를 키우는 축산업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교육 시설로 도학초등학교가 있다. 하학리는 동학농민혁명 최대 전승지로 널리 알려진 곳이다.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이 황토현에 들어서 있고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에서 운영하는 각종 시설물이 있다. 황토현 북쪽에 황토현어울림센터가 있다. 주요 문화유산으로 정읍 황토현 전적[사적]이 있고, 동학농민혁명기념관과 동학농민혁명기념관구관, 갑오동학혁명기념탑이 있고, 가정마을에 동학농민혁명군 우물, 중하마을에 열녀 언양김씨 정려가 있다. 도로망으로는 태고로와 동학로가 주요 도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