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166
한자 優德里
영어공식명칭 Udeok-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우덕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진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덕천면 우덕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덕천면 우덕리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우덕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우덕리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우덕리로 개편
성격 법정리
면적 3.51㎢
가구수 239가구
인구[남/여] 419명[남 204명|여 215명]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조선 태종 때 송희(宋禧)[여산 송씨(礪山 宋氏)]가 공조전서(工曹典書)로 재직하다가 70살이 되어 고부로 낙향하자 태종이 사신을 보내어 집을 지어 주고 ‘학우덕광(學優德廣)’[그 학문이 특수하고 덕이 크다]이라 하여 송희가 내려가 살던 마을을 ‘우덕리(優德里)’라 한 데서 지명이 비롯되었는데, 현재의 우덕리 명칭은 고부군 우덕면 소재지가 있던 중심지여서 붙여졌다.

[형성 및 변천]

본래 고부군 우덕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용전리(龍田里), 시목리(柴木里), 배장리(拜將里), 연촌(硯村), 쌍정리(雙亭里), 내촌(內村), 두지리(斗池里), 만종리(萬宗里)와 우일면(雨日面) 송덕리(頌德里)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덕천면 우덕리로 개설되었다. 1995년 1월 1일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우덕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우덕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서부는 구릉성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죽산에서 갈라진 매봉과 시루봉, 만종산이 솟아 있다. 동부는 대부분 평탄한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농경지가 넓게 형성되어 있다. 동쪽으로 덕천평야 한가운데를 흐르는 정읍천이 있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우덕리의 면적은 3.51㎢이며, 인구는 239가구, 419명[남자 204명, 여자 215명]이다. 우덕리덕천면의 남동쪽에 있으며, 동쪽으로 정우면 대산리, 서쪽으로 상학리, 남쪽으로 정읍시 망제동, 북쪽으로 신월리, 달천리와 접하고 있다.

우덕리는 두지마을, 내정마을, 용전마을, 만종마을의 4개 행정리로 이루어져 있다. 만종마을 뒷산은 만종산으로 임진왜란 때 호남 3대 의병장으로 꼽히던 오봉 김제민의 묘가 있다. 용전마을 서쪽에 있는 소리개재는 두승산 치재 동쪽에서 우덕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며, 1894년 5월 11일 황토현 전투 때 시목리 뒷산인 사시봉(死屍峰)에 주둔한 농민군을 공격한 전라감영군이 소리개재에서 패하였다고 한다.

우덕리에는 덕천면사무소, 덕천치안센터, 덕천보건지소, 덕천우체국 등의 각종 기관 단체가 있다. 1955년 한옥으로 건립한 덕천면청이 있었으나 1993년 11월 24일 동쪽으로 50여m 떨어진 곳에 새 청사를 지었다. 교육 기관으로 덕천초등학교가 있다. 덕천초등학교 교정에는 2012년 2월 22일 보호수로 지정된 수령 300년 이상의 느티나무가 있다[지정 번호 9-4-32]. 문화유산으로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사적], 우덕리산성[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오봉 김제민 묘비[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가 있다. 비지정 문화재로 의성 김씨 재실인 만종재, 오봉 김제민 신도비, 태천 김지수 신도비, 감은정지(感恩亭址)가 있다. 우덕리에는 지방도 제705호가 남북으로 지나간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