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180 |
---|---|
한자 | 水金里 |
영어공식명칭 | Sugeum-ri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우면 수금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성욱 |
개설 시기/일시 |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정토면 수금리 개설 |
---|---|
변천 시기/일시 | 1935년 3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정토면 수금리에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우면 수금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정우면 수금리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정우면 수금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정우면 수금리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우면 수금리로 개편 |
성격 | 법정리 |
면적 | 3.11㎢ |
가구수 | 134가구 |
인구[남/여] | 221명[남 103명|여 118명]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우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본래 고부군의 수금향(水金鄕) 지역이 후에 수금면으로 변화하였고,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면 이름이 수금리(水金里)의 명칭으로 붙여졌다.
[형성 및 변천]
본래 고부군 수금면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신흥리(新興里), 월성리(月成里), 삼동(三洞), 좌두리(左斗里), 야리(也里), 규촌(閨村)과 이평면 오금면 각목리(角木里) 및 장순면 신성리(新成里)의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정토면 수금리로 개설되었다. 1935년 3월 1일 행정 구역 조정으로 우순면과 정토면이 정우면(淨雨面)으로 병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우면 수금리로 개편되었다. 1995년 1월 1일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와 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정우면 수금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우면 수금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수금리의 동쪽은 정토산 자락의 구릉지이고, 서쪽은 평야 지역이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수금리의 면적은 3.11㎢이며, 인구는 134가구, 221명[남자 103명, 여자 118명]이다. 수금리는 정우면의 서부에 있고, 동쪽으로 회룡리, 서쪽으로 이평면 오금리, 남쪽으로 초강리, 북쪽으로 산북리와 접하고 있다.
수금리는 금북(金北)마을, 금남(金南)마을, 좌야(左野)마을, 월성(月城)마을, 금창(金昌)마을의 5개 행정리로 이루어져 있다. 금북마을은 수금리 동부 구릉지에 있으며, 북쪽 산북리의 삼산으로 넘어가는 고개를 까재기재, 동쪽 회룡리로 넘어가는 고개를 뒷재라고 부른다. 금남마을은 5개 마을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원래는 북쪽의 금북마을과 하나의 마을이었다. 정우면 면사무소가 1914년부터 1983년까지 있었으나, 1983년 초강리에 면사무소를 신축하여 이전하였다. 금남마을 동남쪽에는 금남제(金南堤)라고 부르는 방죽이 있다. 좌야마을은 수금리 동부 구릉지의 서쪽 끝자락에 있다. 서쪽 정읍천의 홍수로 마을이 침수되어 1993년 금창마을에 연립 주택을 지어서 이주하였으나, 지금도 일부 남아 있는 주민이 있다. 월성마을은 중종반정 이후인 1506년 삼남 지방의 민심이 흉흉하자, 중종이 조광조에게 민심의 동향을 알아보라 영을 내려 전국을 순회하던 중, 월경천(月鏡川)[수금천(水金川)]을 지날 때, 옆 마을이 마치 성(城)처럼 보이고, 뒤에 있는 야산이 병풍처럼 펼쳐 있으며, 초가가 군대 병영의 군막처럼 보여 ‘월성(月城)’이라고 하였다고 하는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마을 뒤에는 수령 약 500년의 느티나무 다섯 그루가 있다. 미나리의 생산량이 많아서 정읍 시장에서 유통되는 미나리의 대부분이 월성마을에서 나오기도 하였다. 그리고 백죽교(白粥橋)와 유장춘 효자의 전설이 있다. 금창마을은 1993년 농촌 취락 구조 개선 사업으로 다세대 주택 4동 16세대를 건축하여 주민들을 이주하게 함으로써 마을이 형성되었다.
수금리에는 정우중학교와 정우초등학교가 있다. 문화유산으로 금북마을 북쪽에 김해 김씨의 재각인 영모재(永慕齋)가 있고, 금남마을에 성산 배씨 삼강정려(星山裵氏 三綱旌閭)가 있다. 수금리 남북 방향으로 지방도 제701호와 호남선 철도[정토터널]가 통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