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179 |
---|---|
한자 | 淨雨面 |
영어공식명칭 | Jeongu-mye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우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성욱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속하는 법정면.
[명칭 유래]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우일면(雨日面)의 우(雨) 자와 장순면(長順面)의 순(順) 자를 따서 우순면(雨順面)이라고 하고 정토산(淨土山)의 이름을 따서 정토면(淨土面)이라고 하였으며, 이후 1935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정토면의 정(淨) 자와 우순면의 우(雨) 자를 따서 정우면(淨雨面)이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고부군의 18개 면 중 15개가 정읍군으로 통합되었는데, 이 중 우일면(雨日面)과 장순면(長順面)을 통합하여 우순면(雨順面)이 되었고, 벌미면(伐未面)과 수금면(水金面) 그리고 오금면(梧琴面)을 통합하여 정토면(淨土面)이 되었다. 1935년 3월 1일 행정 구역 조정에 따라 정토면과 우순면[남산리, 영파리, 화해리 제외]이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우면으로 개설되었다. 1973년 7월 1일 오금리가 정우면에서 이평면으로 편입되었고, 1989년 1월 1일 장학리가 정우면에서 북면으로 편입되었다. 1995년 1월 1일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와 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정우면으로 개편되었다. 201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우면이 되었다. 정우면 법정리 가운데 서남부 5개 리 지역[대산리, 우일리, 장순리, 초강리, 우산리]은 과거 우순면 지역이었다가, 그리고 동북부 5개 리 지역[산북리, 대사리, 회룡리, 화천리, 수금리]은 과거 정토면 지역이었다가 통합된 것이다.
[자연환경]
정우면은 북쪽의 정토산(淨土山), 동쪽의 덕재산, 남쪽의 바둑이산을 중심으로 구릉성 산지가 발달하였고[회룡리, 화천리, 장순리, 우산리, 우일리], 서부[수금리, 초강리, 대산리]는 정읍천에 의한 충적 평야, 그리고 북부[산북리, 대사리]는 동진강에 의한 충적 평야가 발달하였다. 주 산업은 농업으로 쌀, 보리를 주로 재배하고 고추, 담배 등 밭 작물과 사과 중심의 과수 재배가 성하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정우면의 면적은 30.35㎢이며, 인구는 2,445명[남자 1,242명, 여자 1,203명]이다. 정우면은 정읍시 1읍, 14면, 8동 중 하나로, 정읍시 중심지의 북쪽에 있으며, 동쪽으로 태인면, 서쪽으로 이평면, 덕천면, 남쪽으로 북면과 농소동, 북쪽으로 신태인읍 등 6개 동면과 접하고 있다.
정우면의 법정리는 수금리(水金里), 산북리(山北里), 대사리(大寺里), 회룡리(回龍里), 화천리(花川里), 장순리(長順里), 초강리(楚江里), 우산리(牛山里), 대산리(垈山里), 우일리(雨日里)의 10개이고 38개 마을[행정리]이 속하여 있다. 정우면사무소는 전라북도 정읍시 정우면 정신로 609[초강리 39-3]에 있다.
정우면의 주요 시설로는 초강리에 정우면사무소, 정우치안센터, 정우우체국, 샘골농협본점이 있고, 의료 시설로는 초강리에 정우보건지소, 회룡리에 보건진료소가 있다. 교육 시설로는 수금리에 정우중학교와 정우초등학교, 대산리에 정남초등학교가 있다. 정우면의 동남쪽 우산리에는 정읍시청 제2청사, 정읍시 농업기술센터, 국립종자원 전북지원 정읍청사, 정읍가축시장이 있다. 정우면의 문화유산으로는 정읍 정토사 목조관음보살좌상과 복장유물[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이 있으며, 문화 유적으로 우일리에 송덕원이 있다.
정우면에는 남북 방향으로 정읍-신태인을 연결하는 호남고속철도와 신태인역과 정읍역을 연결하는 호남선 철도가 통과한다. 2006년 정우면 초강리의 호남선 초강역이 폐역되어 터와 승강장만 남아 있다. 그리고 동쪽에는 남북 방향으로 호남고속도로[태인IC~정읍IC 연결]와 국도 제1호가 통과하고 있다. 그리고 남북으로는 신태인읍과 북면을 연결하는 지방도 제701호, 동서로는 태인면과 화천리, 장순리, 초강리, 덕천면을 연결하는 군도 제14호가 통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