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218
한자 飛鳳里
영어공식명칭 Bibong-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 비봉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허인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옹동면 비봉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옹동면 비봉리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옹동면 비봉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옹동면 비봉리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 비봉리로 개편
성격 법정리
면적 6.85㎢
가구수 103가구
인구[남/여] 164명[남 81명|여 83명]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비봉산 아래 있는 지역이기 때문에 비봉리(飛鳳里)라 하였다고 한다. ‘비봉산’의 명칭은 산 형체가 마치 봉이 양 날개를 벌리고 날려 하는 모양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형성 및 변천]

본래 태인군 동촌면(東村面)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수약동(水葯洞), 구암리(九岩里), 수천리(水川里), 후당리(後堂里), 화장동(花庄洞), 두곡리(斗谷里), 노탄리(蘆灘里), 고현내면(古顯內面) 도산리(道山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옹동면 비봉리로 개설되었다. 1995년 1월 1일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옹동면 비봉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 비봉리가 되었다.

『호구총수』[1789년]의 동촌면(東村面)에는 수천(水川)·구암(龜巖)·수약(守約)마을이 보이며, 1872년에 제작된 지방지도 가운데 하나인 「태인현지도(泰仁縣地圖)」의 동촌면에서 비봉리와 관계되는 마을로는 수약(守約)·수천(水川)·두곡(斗谷)이 찾아진다. 또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1912년]의 동촌면에는 노탄리(蘆灘里)·두곡리(斗谷里)·수천리(水川里)·후당리(後堂里)·화장동(花庄洞)·구암리(九巖里)·수약동(水葯洞)이 보인다. 『정읍군지』[1936년]에는 화묘동(花廟洞)·수약동(守約洞)·수천리(水川里)·두곡리(斗谷里)가, 『태인지』[1965년]에는 수약(水約)·수천(水川)·화장(花庄)·두곡(斗谷)이, 『증보 정읍군지』[1974년]에는 비봉리(飛鳳里)에 수약동(水約洞)·구암리(九岩里)·수천리(水川里)·후당리(後堂里)·화장동(花庄洞)·두곡리(斗谷里)·노탄리(蘆灘里)[태인군 동촌면(泰仁郡 東村面)]·도산리(道山里)[태인군 고현내면(泰仁郡 古縣內面)] 각 일부가 자연 마을로 기재되어 있다.

[자연환경]

비봉리는 북쪽 비봉산이 에워싸고 있으며, 수약천이 흘러 내려가 비봉천과 합류하여 동진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수천마을 동쪽에는 양두산과 수천저수지가 있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비봉리의 면적은 6.85㎢이며, 인구는 103가구, 164명[남자 81명, 여자 83명]이다. 비봉리옹동면의 동쪽 하단에 있으며, 동쪽으로 산외면 오공리, 서쪽으로 산성리, 남쪽으로 칠보면 와우리, 북쪽으로 오성리와 접하고 있다.

비봉리의 자연 마을로 수암(水岩), 화장(花庄), 수천(水川), 두곡(斗谷)이 있다. 비봉리의 문화유산으로 수암마을에 의금부도사를 지낸 김도언(金道彦) 유물을 보관한 어사각이 있다. 태평연정도, 김도언 생원 문과 및 부모 추증 교지와 어사화 등 8점 모두 의금부도사김도언유물로서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또 어사각 입구에서 우측으로 넓게 조성된 밭에서는 ‘화주(化主)’명 와편과 ‘만(卍)’자명 와편을 비롯하여 분청자기편, 백자편 등이 수습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