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227
한자 白岩里
영어공식명칭 Baegam-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백암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허인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칠보면 백암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칠보면 백암리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백암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백암리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백암리로 개편
성격 법정리
면적 7.19㎢
가구수 232가구
인구[남/여] 403명[남 221명|여 182명]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중심 마을인 백암(白岩)마을의 명칭을 따서 백암리(白岩里)라 하였다. 백암(白岩)은 마을에 흰 바위가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형성 및 변천]

본래 태인군 남촌일변면(南村一邊面)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상일리(上一理), 중일리(中一里), 제내리(提內里), 백암리(白岩里), 축촌리(軸村里), 석정리(石井里)와 고현내면(古縣內面), 이리(二里), 삼리(三里) 및 동촌면(東村面) 칠전리(漆田里), 남촌이변면(南村二邊面) 덕두리(德斗里) 각 일부와 원두리(元斗里), 사제리(沙提里)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칠보면 백암리로 개설되었다. 1995년 1월 1일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백암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백암리가 되었다.

『호구총수(戶口總數)』[1789년]의 남촌면에 보이는 원두산리(元頭山里)·백암리와 『1872년 지방지도』[태인현]의 남촌면에 보이는 백암(白岩)·덕두(德斗)·석정(石井)이,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1912년]의 고현면에 보이는 이리·삼리와 남덕일변면의 상일리·중일리·제내(提內)·백암·석정, 그리고 남촌이변면의 덕두리·원두리(元斗里)·사제리(沙提里) 등이 지금의 백암리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정읍군지』[1936년]에는 백암리·제내리·상일리·중일리·흥이리(興二里)·흥삼리(興三里)·사제리(沙堤里)·원두리(元頭里)가, 『신편 정읍군지』[1957년]에는 백암·제내(堤內)·상일(上一)·중일(中一)·흥이(興二)·흥삼(興三)·사제(沙堤)·원두(元頭)가, 『태인지』[1965년]에는 원백암(元白岩)·상일리·중상리(中上里)·흥이(興二)·흥삼(興三)·사제(沙堤)·원두(元頭)가 백암리의 자연 마을로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증보 정읍군지』[1974년]에는 상일리·중일리·제내리(堤內里)[태인군 고현내면]·백암리·축촌리(杻村里)·석정리[태인군 남촌일변면]·이리·삼리[태인군 고현내면]·칠전리[태인군 동촌면]·덕두리 각 일부·사제리(沙堤里)·원두리(元斗里)[태인군 남촌이변면]가 백암리의 자연 마을로 기재되어 있다.

[자연환경]

백암리칠보산 자락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칠보산에서 연원하는 백암천이 축현천과 합류하여 동진강으로 흘러든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백암리의 면적은 7.19㎢이며, 인구는 232가구, 403명[남자 221명, 여자 182명]이다. 백암리칠보면의 북서부에 있으며, 동쪽으로 무성리, 서쪽으로 태인면 태남리, 서남쪽으로 축현리, 동남쪽으로 반곡리, 북쪽으로 옹동면 산성리와 접하고 있다.

자연 마을로 원백(元白)마을, 상일(上一)마을, 중일(中一)마을, 흥이(興二)마을, 흥삼(興三)마을, 원제(元提)마을이 있다.

백암리의 교육 기관으로는 백암초등학교가 있고 문화유산으로는 전북특별자치도 민속문화유산인 남근석이 있다. 이외에 할아버지와 할머니 장승 2기도 있다. 지방도 제708호가 백암리 북쪽으로 지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