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225 |
---|---|
한자 | 七寶面 |
영어공식명칭 | Chilbo-mye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허인욱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속하는 법정면.
[명칭 유래]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지역에서 가장 높은 산인 칠보산(七寶山) 이름을 따서 칠보면(七寶面)이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본래 태인군 고현내면(古縣內面)과 남촌일변면(南村一邊面)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고현내면과 남촌일변면을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칠보면으로 개설되었다. 1995년 1월 1일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와 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으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이 되었다.
『호구총수』[1789년]에는 고현내면에 성저리(城底里)·은석동리(銀石洞里)·도촌리(島村里)·동변리(東邊里)·가양리(嘉陽里)·남전리(藍田里)·세류리(細柳里)·반곡리(盤谷里)·진종리(真從里)·송산리(松山里)·복호리(伏虎里)·명천리(鳴川里)·검단리(檢丹里)가, 남촌면(南村面)에는 원두산리(元頭山里)·신흥리(新興里)·신동리(新洞里)·백암리(白岩里)·석정리(石井里)·신기리(新基里)·축촌리(杻村里)·벌수리(伐樹里)·옥촉리(玉燭里)·광덕리(光德里)·청당리(靑堂里)·하유촌리(下鍮村里)·한덕리(閑德里)·서원리(書院里)·입점리(笠店里)·가정리(柯亭里)·마정리(摩精里)·오류동리(五柳洞里)·장동리( 壯洞里)·보림사리(寶林寺里)가 기재되어 있다. 또 『1872년 지방지도』[태인현]에는 고현면에 방천(方川)·행단(杏壇)·송산(松山)·세류(細柳)·주촌(舟村)·동변(東邊)·서변(西邊)·묵동(墨洞)·원촌(院村)·석탄(石灘)이, 남촌면에 피오(皮五)·여암(余巖)·광덕(光德)·청당(靑堂)·반룡(盤龍)·백암(白岩)·신흥(新興)·덕두(德斗)·오류(五柳)·장자(壯者)·신기(新基)·석정(石井)·평촌(平村)·유촌(鍮村) 등이 기재되어 있다.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1912년]에는 1912년 1월 1일 당시 조선의 도(道)·부(府)·군(郡)·면(面) 및 동(洞)·리(里)의 지명을 보여 주는데, 고현내면에 은석동(銀石洞)·원촌(院村)·장구동(長龜洞)·동변(東邊)·이리(二里)·삼리(三里)·세류촌(細柳村)·만궁(滿弓)·사리(四里)·백화(白花)·하진(下眞)·중진(中眞)·사적(沙積)·상오(上五)·하오(下五)·복호(伏虎)·행단(杏壇)·명천(鳴川)·육리(六里)·도산(道山)·신기(新基) 등 21개 마을이, 남촌일변면에 피오리(皮五里)·노적리(露積里)·수적동(水積洞)·송정리(松亭里)·내청당(內靑塘)·외청당(外靑塘)·덕가리(德加里)·굴치(屈峙)·광덕리(光德里)·광신(光新)·벌수(伐樹)·여암(餘巖)·옥촉(玉燭)·동막(東幕)·축촌(杻村)·신기(新基)·석정(石井)·백암(白巖)·상일리(上一里)·제내(堤內)·중일리(中一里)·흥이리(興二里)·흥삼리(興三里)의 23개 마을이 기재되어 있다.
『증보 정읍군지』[1974년]에는 무성리(武城里)에 은석리(銀石里)·원촌리(院村里)·동촌리(東村里)·육리(六里)·도산리(道山里)[태인군 고현내면]·흥삼리(興三里)·신제리(新堤里) 각 일부·구동(九洞)[태인군 남촌일변면], 와우리(臥牛里)에 명천리(鳴川里)·도산리(道山里)·육리(六里)·원촌리(院村里) 각 일부, 시산리(詩山里)에 행단리(杏壇里)·복호리(伏虎里)·상오리(上五里)·하오리(下五里)·동변리(東邊里)·원촌리(院村里)·만궁리(滿弓里)[태인군 고현내면]·흥삼리(興三里) 각 일부·흥이리(興二里)[태인군 남촌일변면], 백암리(白岩里)에 상일리(上一里)·중일리(中一里)·제내리(堤內里)[태인군 고현내면]·백암리(白岩里)·축촌리(杻村里)·석정리(石井里)[태인군 남촌일변면]·이리(二里)·삼리(三里)[태인군 고현내면]·칠전리(漆田里)[태인군 동촌면]·덕두리(德斗里) 각 일부·사제리(沙堤里)·원두리(元斗里)[태인군 남촌이변면], 축현리(杻峴里)에 석정리(石井里)·남기리(南基里)[태인군 남촌일변면] 각 일부, 반곡리(盤谷里)에 동막리(東幕里)·옥촉리(玉燭里)·서암리(徐岩里)·벌수리(伐水里)·광신리(光新里)[태인군 남촌일변면]·만궁리(滿弓里) 일부·세류리(細柳里)·사리(四里)·진도리(眞徒里)·백화리(白花里)[태인군 고현내면], 수청리(水靑里)에 광덕리(光德里)·내청리(內靑里)·외청리(外靑里)·송정리(松亭里)·수만리(水滿里)·노적리(老迪里)·피오리(皮五里)·굴치리(屈峙里)[태인군 남촌일변면]·피오리(皮五里)[정읍군 동면(東面)] 각 일부의 7개 리와 마을이 기재되어 있다.
[자연환경]
칠보면은 호남 지역의 넓은 산지를 이루는 노령산맥의 북쪽 자락에 걸쳐 있고 대부분이 산지 지역이다. 칠보면의 중심부를 흐르는 칠보천을 따라 농경지가 형성되어 있고 동쪽에는 하천 충적지로 넓은 평지가 형성되어 논농사가 활발하다. 칠보산이 칠보면 남쪽에 자리하고 있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칠보면의 면적은 49.94㎢이며, 인구는 1,245가구, 2,201명[남자 1,135명, 여자 1,066명]이다. 칠보면은 정읍의 동북부 중산간부에 있으며, 동쪽으로 산외면과 산내면, 서쪽으로 북면, 남쪽으로 정읍시와 순창군 쌍치면, 북쪽으로 옹동면·태인면과 접하고 있다. 칠보면은 축현리·백암리·무성리·와우리·시산리·반곡리·수청리 등 7개 법정리와 32개 마을, 73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사무소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칠보중앙로 68[시산리 587-3]에 있다.
칠보면은 옹동면, 산내면, 산외면으로 통하는 교통의 중심지로서 삼국 시대부터 읍의 치소였고 태산선비문화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경제는 전형적인 농촌 지역으로 특용 작물과 친환경 농업, 축산업이 발달하였다. 동북쪽에 칠보천과 동진강이 합류하는 시산리 주변 일대가 칠보면의 중심 지역으로 주택과 학교, 공공 시설이 집중되어 있다. 교육 기관으로는 백암초등학교, 수곡초등학교, 칠보초등학교와 칠보중학교 그리고 칠보고등학교가 있으며, 의료 기관으로는 칠보보건지소가 있다. 칠보면의 교통은 국도 제30호와 지방도 제49호가 지나간다.
문화 유적으로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정읍 무성서원(井邑武城書院)이 있으며, 김회련 개국원종공신녹권[보물]과 김회련 고신왕지[보물]가 정읍시립박물관에 있다. 태인 고현동 향약[보물]은 고현 내에서 시행한 향약 및 향약 관련 자료를 모은 향약서인데, 시산리의 동각(洞閣)에 보관되어 있다. 조선 시대 유학자인 김후진(金後進), 안의(安義), 손홍록(孫弘祿), 김만정(金萬挺) 등의 위패를 모신 남천사(藍川祠)[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가 있으며, 무성리삼층석탑[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무성리석불입상[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도 있다. 최서림(崔瑞琳)·김정호(金挺昊)·은정화(殷鼎和)·한백유(韓佰愈)·김습(金習)·유종흥(柳宗興)을 향사하는 용계서원(龍溪書院)과 최익현(崔益鉉)·김기술(金箕述)·김직술(金直述)을 향사하는 추모하여 시산사(詩山祠), 그리고 김회련을 향사한 도봉사(道峰祠)도 있다. 최치원과 관련된 유상대(流觴臺) 이야기가 전하는 시산리 송산마을에는 감운정(感雲亭)·영벽정(映碧亭)·노소재(老小齋)가 있으며, 단종의 왕후인 여산 송씨가 태어났다고 하는 정순왕후(定順王后) 태생유지(胎生遺址)가 있다. 행단마을에는 칠보수력발전소가 있으며, 칠보수력발전소 옆에 6·25전쟁 당시 발전소를 지키다 전물한 군경을 추모하는 충혼탑이 있다. 이외에 태산선비문화사료관과 칠보물테마유원지가 있다. 무성리의 원촌마을과 은석마을, 시산리의 건흥마을, 시기마을, 송산마을, 남전마을, 동편마을, 복호마을, 행단마을은 공동으로 선비 문화 체험과 정읍 무성서원 등 주변 지역 관광 및 농촌 체험을 할 수 있는 태산선비마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