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033
한자 七寶山
영어공식명칭 Chilbosa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칠보면|금붕동|구룡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유승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칠보산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해당 지역 소재지 칠보산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칠보면|금붕동|구룡동지도보기
성격
높이 467.8m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칠보면, 금붕동구룡동에 걸쳐 있는 산.

[명칭 유래]

칠보산(七寶山)은 칠보사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여지도서(輿地圖書)』 등에 “칠보산은 현의 북쪽 10리[약 3.93㎞]에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해동지도(海東地圖)』에는 칠보산이 읍치 북동쪽, 안치 남쪽에 묘사되어 있으며, 『호남지도(湖南地圖)』, 『동여도(東輿圖)』,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등에도 기재되어 있다.

[자연환경]

칠보산은 중생대 쥐라기에 관입한 복운모 화강암 지질 구조이다. 호남정맥의 한 지맥에 속하며 동쪽의 고당산에서 이어진다. 북쪽과 서쪽은 가파르며, 동쪽은 완만한 지형이다. 정상에서는 정읍 시가지와 내장산 서래봉, 불출봉, 연지봉, 망해봉, 입암산, 방장산까지 보인다. 남쪽으로 금붕천이 발원하여 정읍천으로 합류하며, 북쪽으로 장흥천, 한교천정읍천으로 흘러든다.

[현황]

칠보산정읍시 북면칠보면, 금붕동구룡동에 걸쳐 있는 높이 467.8m의 산이다. 경위도상으로는 북위 35° 33' 24.38", 동경 126° 54' 04.50"이다. 칠보산은 정읍의 진산(鎭山)에 해당한다. 동학농민운동임진왜란 때 농민군과 주민들의 피난처로 이용되었고, 6·25전쟁 때는 빨치산이 보급로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칠보산의 북동쪽에는 1539년(중종 34) 이항(李恒)이 문도들과 함께 독서하던 보림사(寶林寺)가 있다. 산마루에는 족두리바위라는 큰 바위가 있는데, 옛날에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하지 못하는 것을 슬퍼한 신부가 혼례식 날 가마가 산꼭대기에 이르렀을 때 족두리를 벗어 던지고 몸을 바위 아래로 날렸다는 전설이 전한다. 칠보산 산행은 대개 정읍 시내 상동 왕솔밭, 또는 금붕동 귀양실재에서 정상에 오르는 길을 이용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