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270 |
---|---|
한자 | 科橋洞 |
영어공식명칭 | Gwagyo-dong |
이칭/별칭 | 괘다리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과교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진성 |
개설 시기/일시 |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정읍면 과교리 개설 |
---|---|
변천 시기/일시 | 1930년 12월 26일 - 전라북도 정읍군 정읍면 과교리에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면 과교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31년 4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면 과교리에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 과교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81년 7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 과교리에서 전라북도 정주시 과교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주시 과교동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과교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과교동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과교동으로 개편 |
성격 | 법정동 |
면적 | 1.88㎢ |
가구수 | 242가구 |
인구[남/여] | 381명[남 182명|여 199명]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과교동(科橋洞)은 괘다리로 불렸던 지역으로, 과교(科橋)는 ‘다리’의 한자 표기이니, 마을 앞의 다리 이름이었다. 기록에는 없는 것으로 미루어 근래에 붙여진 지명으로 추정된다. 괘다리의 이름은 풍수설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하며, 과교마을의 주산인 옥녀봉(玉女峰)이 옥녀탄금(玉女彈琴), 즉 옥녀가 거문고를 타는 형국이기 때문에, 과교리가 거문고의 괘(掛)에 해당하므로 괘다리로 하였다고 전한다.
[형성 및 변천]
본래 정읍군 남일면의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신계리, 백운동, 구계촌, 월암리, 낙포리와 고안리, 궁계리의 각 일부와 서이면의 칠정리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정읍면 과교리로 개설되었다. 『조선지형도』[정읍]에는 시가지 서쪽으로 호남선이 지나가며 서쪽에 상평리가, 동쪽에 과교리가 기재되어 있다. 1930년 12월 26일 정읍면이 정주면으로 개칭되면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면 과교리로 개편되었다. 1931년 4월 1일 정주면이 정주읍으로 승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 과교리로 개편되었다. 1981년 7월 1일 정주읍이 정주시로 승격되면서 전라북도 정주시 과교동으로 개편되었다. 1995년 1월 1일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와 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저 전라북도 정읍시 과교동이 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과교동이 되었다.
[자연환경]
정읍천의 지류인 용산천이 과교동의 가운데를 가로질러 남동에서 북서 방향으로 흐르면서 범람원 평야를 만들고 있다. 용산천의 왼쪽에는 옥녀봉이, 오른쪽에는 초산봉이 있다.
[현황]
2023년 현재 과교동의 면적은 1.88㎢이며, 인구는 242가구, 381명[남자 182명, 여자 199명]이다. 과교동은 동쪽으로 초산동, 교암동, 서쪽과 남쪽으로 삼산동과 진산동, 북쪽으로 상평동과 접하고 있다. 과교동의 행정동은 상교동이다. 산지가 평지와 만나는 완경사면에 과교·백운·구계마을이 있다. 과교동에 속한 마을 중 구계마을의 규모가 가장 크며 구계마을과 백운마을은 탐진 안씨가 주요 성씨를 이루고 있다. 구계마을 뒤편의 산지에는 보은사가 있다.
과교동에는 행정 기관으로 상교동주민센터가 있고, 손화중 생가터와 다솜학교 및 정읍농협미곡종합처리장이 있다. 과교마을과 구계마을은 정읍남로로, 과교마을과 백운마을은 백운로로 연결된다. 구계교암길을 통하여 과교동 남쪽 교암동과 연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