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273 |
---|---|
한자 | 新月洞 |
영어공식명칭 | Sinwol-dong |
이칭/별칭 | 신월리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월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진성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신성마을과 월성마을의 이름을 따서 신월리라 한 데서 신월동(新月洞) 명칭이 비롯되었다.
[형성 및 변천]
본래 정읍군 남일면의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죽리, 월성리, 칠성리, 구정리, 신성리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내장면 신월리로 개설되었다. 당시 내장면의 행정 구역은 금붕리(琴朋里), 부전리(夫田里), 쌍암리(雙岩里), 내장리(內藏里), 용산리(龍山里), 교암리(校岩里), 신월리(新月里)로 편성되었다. 1983년 2월 15일 행정 구역 조정에 따라 정주시로 편입되면서 신월동으로 개칭되어 전라북도 정주시 신월동으로 개편되었다. 1995년 1월 1일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읍군과 정주시가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신월동으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월동이 되었다.
[자연환경]
신월동은 내장산의 산세가 정읍 시가지 방향인 북서쪽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의 중간 지점에 있다. 신월천(新月川)의 침식 및 퇴적 작용에 의하여 만들어진 계단 모양의 평탄면인 하안단구(河岸段丘)가 발달되어 있다. 신월천 주변은 가장 낮은 하천 근처로부터 산지에 이르기 전까지 계단식 논농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산지와 만나는 가장 높은 평탄면에 마을이 분포하고 있다. 신월천의 상류에는 신성저수지, 중류에는 신월저수지가 농업용수를 공급하여 주고 있다. 신월동 주변을 에워싼 주요 산들로는 애산과 송규산, 장군봉 등이 있다.
[현황]
2023년 1월 현재 신월동의 면적은 5.93㎢이며, 인구는 125가구, 204명[남자 109명, 여자 95명]이다. 신월동은 동쪽으로 송산동, 쌍암동, 서쪽으로 교암동, 남쪽으로 용산동, 북쪽으로 초산동과 접하고 있다. 법정동 신월동의 행정동은 상교동이다.
신월동에 속한 마을로는 서월, 동월, 신성 등이 있다. 신성마을은 천주교 박해를 피해서 숨어든 신자들이 모여서 만든 교우촌으로 천주교신성공소[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가 있다. 성황당고개 주변에는 초산동에 주로 위치한 전북과학대학교의 일부 시설인 생활관과 실내체육관 등이 있다. 신월동은 국도 제1호가 동서로, 지방도 제708호가 남북으로 지나며 서쪽에서 교차한다. 정읍사로는 북서쪽으로 성황당고개를 통하여 초산동 및 정읍 시가지와 연결되며, 남서쪽으로는 교암동과 이어진다. 정읍대로는 정읍 시가지를 우회하여 신월동을 포함한 교암동 및 진산동을 횡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