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275
한자 新井洞
영어공식명칭 Sinjeong-dong
이칭/별칭 샘바다, 정해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정동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진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입암면 신정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89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입암면 신정리에서 전라북도 정주시 신정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주시 신정동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신정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신정동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정동으로 개편
성격 법정동
면적 18.6㎢
가구수 963가구
인구[남/여] 1,246명[남 699명|여 547명]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신정동(新井洞)은 들 가운데 큰 샘이 있으므로 샘바다 또는 정해 혹은 신정이라고 한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형성 및 변천]

본래 정읍군 남이면의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서촌리, 등촌리, 금구리, 평점리, 간등리, 전지리, 관동리, 삼성동, 월치리, 오목동, 부귀리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입암면 신정리로 개설되었다. 1989년 1월 1일 행정 구역 조정에 따라 정주시로 편입되면서 신정동으로 개칭되어 전라북도 정주시 신정동으로 개편되었다. 1995년 1월 1일 정읍군정주시가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신정동으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정동이 되었다.

[자연환경]

신정동의 중앙에 위치한 삼성산, 오봉산, 필봉산을 필두로 나머지 지역도 대부분 노령산지의 일부였다. 그런데 2000년대 초반부터 신정동의 북쪽 산지는 정읍첨단과학산업단지가 조성됨으로써 대부분 평지로 바뀌었다. 현재 내장산 골프&리조트, 용산저수지 주변 또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가 있는 곳의 주변 지역에 소하천에 의한 범람원이 있어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다.

[현황]

2023년 현재 신정동의 면적은 18.6㎢이며, 밭은 0.36㎢, 논은 0.39㎢, 임야는 15.08㎢, 대지는 1.31㎢, 공업 용지 1.31㎢ 등으로 임야와 공업 용지의 비중이 높다. 인구는 963가구 1,246명[남자 699명, 여자 547명]이다. 신정동은 동쪽으로 내장동, 서쪽으로 입암면 신면리하부리, 남쪽으로 장성군 북하면 신성리, 북쪽으로 교암동, 용산동과 접하고 있다. 법정동 신정동의 행정동은 상교동이다.

신정동에 속한 마을은 정해, 전지, 서당, 백학, 부귀, 금구 등이 있다. 정해, 전지, 부귀 등은 약 600년 이전부터 마을을 형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머지 마을들도 400년 이상 되었다고 한다. 정읍첨단과학산업단지는 지역의 성장 동원력을 확보하고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2003년도부터 2013년까지 기반 시설을 완공하여 첨단 기업을 유치하였다. 2022년 9월 현재 19개의 업체가 입주하고 있다. 이와 함께 내장산 골프&리조트가 입지하여 지역의 장소성이 점차 변하고 있다. 시대의 변화와 함께 인위적으로 자연환경이 변하면서 주민들의 정체성도 점차 바뀌고 있다. 1차 산업보다는 2차 산업 또는 3차 산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많아지면서 지역민들은 점차 고향을 떠나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