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352
한자 『輿地圖』「全羅道」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문헌/문서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한상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12월 22일연표보기 - 『여지도』 보물 제1592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여지도』 보물로 변경 지정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 56-1]
성격 고지도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18세기 후반 편찬된 『여지도(輿地圖)』에 수록된 현재의 정읍 지역인 고부군, 정읍현, 태인현을 포함한 전라도 지도.

[개설]

『여지도(輿地圖)』는 조선 시대의 군현별 지도 및 조선 전도, 중국 지도 등을 망라한 지도책이다.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보물로 변경되었다. 2024년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제작 발급 경위]

『여지도』는 1757년 이후부터 1776년(영조 52) 이전 사이에 제작된 지도로 추정된다. 채색 필사본으로 필치나 색감이 뛰어나고, 정보의 내용이 풍부하며, 보존 상태가 우수하다. 지도의 전체적 양식은 정상기의 『동국지도(東國地圖)』 유형을 따르고 있다. 관(官) 주도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형태]

『여지도』는 3책 33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기는 가로 37.0㎝, 세로 31.0㎝이다.

[구성/내용]

『여지도』 1책에는 서구식 세계 지도인 천하도지도(天下都地圖), 조선 전도인 아국총도(我國摠圖), 청나라의 수도인 북경 지도인 북경도성삼가유시오단팔묘전도(北京都城三街六市五壇八廟全圖), 중국 지도, 의주에서 북경까지의 사신로(使臣路) 지도, 도성도, 조선·일본·유구[오키나와]를 합한 동부아시아 지도가 수록되어 있다. 2책에는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황해도, 평안도, 강원도, 함경도의 순서로 팔도가 그려져 있고, 3책에는 청나라의 광역 행정 단위인 16개의 성(省)이 성경성, 직예성, 산서성, 섬서성, 하남성, 산동성, 강남성, 호광성, 사천성, 강서성, 절강성, 복건성, 광동성, 광서성, 귀주성, 운남성 순서로 그려져 있다.

2책의 전라도 지도를 보면 좌도 21관, 우도 36관 등 57관을 표시하고 있고, 4목(牧), 6부(府), 11군(郡), 5영(令), 29감(監), 6역(驛), 17보(堡)를 좌측 상단에 부기하고 있다. 고부군정읍현, 태인현은 붉은색 사각형 안에 표시하여 읍치의 위치와 명칭을 나타내고 있다. 태인현 동쪽에는 상두산(象頭山), 사살치(沙㐊峙), 굴치(屈峙)가 표기되어 있고, 정읍현 주위에는 갈치(葛峙), 내장산(內藏山), 입암산(笠巖山)이 표기되어 있다. 고부군 주위에는 북쪽으로 두승산(斗升山)이 보인다. 동진강(東津江) 물줄기가 고부군, 태인현은 물론 정읍현까지 그려져 있다.

[의의와 평가]

『여지도』 「전라도」 는 18세기 후반 전라도 고부군·정읍현·태인현 등의 인문 지리 및 자연 지리를 이해할 수 있는 지도로서 전라도의 산천, 도로, 지명은 물론 행정 구역, 행정관, 봉수(烽燧), 역(驛), 보(堡) 등의 위치 정보를 담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