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387
한자 榧子 群落
영어공식명칭 Nut-bearing Torreya Colony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지명/군락, 서식지 및 철새 도래지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 산22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상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현 장소 비자나무 군락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 산221 지도보기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겉씨식물문〉소나무강〉주목목〉주목과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에 있는 비자나무 자생지.

[개설]

비자나무는 우리나라와 일본에 자생하는 주목과의 상록침엽교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내장산 이남의 낮은 산지에 자생한다.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는 내장동 산221번지 일대에 수령 500~800년의 비자나무가 무리를 지어 자라는 비자나무 군락이 있다. 2023년 현재는 내장산이 비자나무의 북방 한계선으로 알려져 있다.

[생물학적 특성]

비자나무는 그늘진 곳에서도 잘 자라고 번식할 수 있다. 어릴 때의 성장은 느린 편이며, 나무줄기가 훼손되었을 때 새로운 줄기를 만들어 내는 맹아력이 있어서 가지를 다듬어 줄 수 있고 이식도 잘된다. 높이는 약 25m이며, 지름은 2m 정도이다. 잎의 길이는 25㎜, 폭은 3㎜ 정도이며, 두껍고 작다. 잎 끝은 뾰족하고 깃꼴처럼 2줄로 배열되어 있다.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갈색이지만 중륵(中肋)과 가장자리는 녹색이며, 중륵이 뒷면에만 나타난다. 잎자루는 길이 약 3㎜이고, 6~7년 만에 떨어진다. 줄기는 지름 약 2m이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고, 오래되면 얕게 갈라져 떨어진다. 꽃은 단성화로 4월에 개화하며 암꽃과 수꽃이 각각 다른 그루에 피는 이가화이다. 암꽃은 녹색이고, 수꽃은 갈색이다. 열매는 이듬해 9~10월에 익는데, 양 끝이 좁은 타원형의 열매는 ‘비자’라 불리는데, 길이 약 2.5㎝에 지름 12㎜ 정도이며 붉은 자주색으로 익는다.

[자연환경]

내장산국립공원은 온대 남부와 난온대 기후대 식물종이 겹쳐서 출현하는 추이대(推移帶)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생물종 다양성이 높은 곳이다. 정읍시의 비자나무 군락은 이러한 내장산국립공원 내에 있다. 과거에는 전라남도 장성군에 있는 천연기념물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이 비자나무의 북방 한계선에 있는 대표적인 숲이었으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후대가 변화함으로써 더욱 북쪽에 있는 내장산에서 비자나무 군락이 발견된 것이다. 정읍시의 비자나무 군락 근처에는 내장산국립공원 북쪽의 월령봉에서 서래봉, 고내장, 불출봉으로 이어지는 원적계곡이 있고, 또한 불출암 터와 원적암 등의 암자가 있다.

[현황]

정읍시의 비자나무 군락이 이루는 숲은 가을 단풍과 더불어 내장산의 대표적인 경관으로 손꼽히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