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노랑상사화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388
영어공식명칭 Yellow Surprise Lily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식물/식물(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 산228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상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8년 - 진노랑상사화 멸종위기야생동식물 및 보호야생동식물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5년 - 진노랑상사화 멸종위기야생동·식물Ⅱ급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2년 - 진노랑상사화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7년 - 진노랑상사화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지정
지역 내 자생|재배지 내장산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 산228 지도보기
성격 여러해살이풀|멸종위기야생생물
학명 Lycoris chinensis var. sinuolata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속씨식물문〉외떡잎식물강〉백합목〉수선화과
원산지 한국
높이 40~70㎝
개화기 7~8월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국립공원 일대에 자생하는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

[개설]

진노랑상사화는 수선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우리나라 고유종이며 주로 내장산, 선운산, 불갑산 등의 낮은 산간 지대에 분포한다. 내장산국립공원의 깃대종이며, 1998년 법적으로 멸종위기야생동식물 및 보호야생동식물로 지정된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다. 2005년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된 이래로 2012년, 2017년에도 계속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는 진노랑상사화를 보호하고자 내장산국립공원 내에 있는 ‘진노랑상사화 군락 자생지’인 내장동 산228 일대를 2030년까지 특별보호구역[지정 면적 5,211.41㎡]으로 지정하여 사람의 출입과 차량 통행 등을 제한하고 있다.

[형태]

진노랑상사화의 비늘줄기는 지름 3.5~5.2㎝인 긴달걀꼴이며 겉은 막질이고 흑갈색이다. 잎은 2월 말~5월에 4~8개가 포개져 나고 길이 32.2~50㎝, 폭 1.2~2.5㎝의 넓은 선형이고 녹색이다. 꽃자루는 잎이 마른 뒤인 7월 말~8월 초에 발생하고 길이 43~78㎝에 달하며 녹색 또는 붉은빛이 도는 녹색이다. 꽃은 4~5개가 꽃자루 끝에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꽃이 진한 노란색이며 꽃덮개 조각 가장자리가 심하게 물결친다는 점에서 연한 노란색 꽃에 꽃덮개 조각 가장자리가 물결치지 않는 붉노랑상사화와 구별된다. 열매는 아구형(亞球形)의 장과(漿果)이며 길이 약 0.9~1㎝의 흑갈색 종자가 2~3개 들어 있다.

[생태]

진노랑상사화는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내장산국립공원을 비롯한 전라도 지역의 낮은 산지 계곡에 분포한다. 습윤한 숲속 자갈이 많은 산지 비탈면의 하부, 계곡 주변의 전석지(轉石地)에 무리 지어 생육한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진노랑상사화가 속하여 있는 상사화속은 잎이 시든 후 꽃이 피는 식물이다. 그래서 꽃이 필 때는 잎이 없고 잎이 있을 때는 꽃이 피지 않으므로 꽃은 잎을 생각하고 잎은 꽃을 생각한다는 의미에서 ‘상사화(相思花)’로 널리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상사화속 식물로는 상사화를 비롯하여 7종이 있는데, 진노랑상사화, 붉노랑상사화, 위도상사화, 제주상사화 등 4종은 우리나라 특산종이다. 상사화는 원래 불교를 따라서 중국에서 한국으로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현재까지 알려진 4~5곳의 진노랑상사화 자생지 역시 오래된 사찰 근처 숲속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