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랑붓꽃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389
영어공식명칭 Dwarf Woodland Korean Iris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식물/식물(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입암면 등천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상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5년 - 노랑붓꽃 멸종위기야생동·식물Ⅱ급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2년 - 노랑붓꽃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지정[2012]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7년 - 노랑붓꽃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지정[2017]
지역 내 자생|재배지 내장산국립공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 지도보기
성격 여러해살이풀|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
학명 Iris koreana Nakai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속씨식물문〉백합강〉붓꽃목〉붓꽃과
원산지 한국
높이 11~20㎝
개화기 4~5월
결실기 6~7월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국립공원 일대에서 생육하는 붓꽃과의 여러해살이풀.

[개설]

노랑붓꽃은 붓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과거 울릉도를 제외한 한반도 전 지역에 관찰되었으나 현재는 한반도 남부 일부 지역에만 분포하는 우리나라 특산종이다. 전북특별자치도의 경우 변산반도와 내장산 내장사 일대에 생육하고 있으며 특히 정읍시에서는 내장산국립공원 내에 자생지가 있어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2005년 멸종위기야생동·식물 Ⅱ급으로 지정되었고 2012년과 2017년에 계속하여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었다.

[형태]

노랑붓꽃은 유사한 붓꽃속 식물인 금붓꽃이나 노랑무늬붓꽃과는 형태가 뚜렷하게 구분된다. 노랑붓꽃의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고, 수염뿌리는 노란빛을 띤 흰색으로 가늘고 길다. 잎은 3~4장이 뿌리에서 나고 넓은 선형으로 길이 5~35㎝, 너비 1.3㎝쯤 된다. 잎끝은 점차 뾰족하여지고, 밑은 잎집을 이루어 줄기를 싼다.

노란색 꽃은 11~20㎝ 정도 길이로 자란다. 긴 꽃대 끝에 2송이씩 피며, 지름이 2~4㎝ 정도 되며 꽃잎은 3장이다. 바깥 꽃덮개는 조금 길며 달걀을 거꾸로 세워 놓은 모양이고, 안쪽 꽃덮개는 타원형으로 조금 짧으며 곧게 선다. 수술은 3개이며 암술머리 뒤쪽에 있고, 암술대는 꽃잎처럼 생겼다. 열매는 넓은 달걀 모양의 삭과(蒴果)이다.

[생태]

노랑붓꽃은 4~5월에 꽃이 피고 6~7월에 열매가 익는다. 씨앗으로 번식하며 포기나누기로도 번식한다. 산지 낮은 비탈면의 숲 가장자리나 계곡 주변에서 살며 다소 습한 토양을 좋아한다. 정읍시에 있는 내장산국립공원 자생지의 경우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지만, 계곡이라는 서식 환경 탓에 폭우 등으로 토양이 유실되거나 뿌리가 노출되는 등 자연적 요인에 취약하다. 또한, 원예식물로서 가치가 크고 탐방로 등 눈에 잘 띄는 곳에 분포하고 있어 탐방객이 몰래 캐어 가는 등의 위험 요인도 함께 존재한다. 자생지 보존과 인공 증식을 통한 복원 등의 보전 방안이 필요하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노랑붓꽃은 일본인 식물학자 나카이 다케노신이 1913년 전라북도 노령에서 채집한 표본을 근거로 1914년 신종으로 발표하였다. 나카이 다카노신이 기준 표본을 채집한 노령은 지금의 정읍시 입암면 등천리 일대로 추정되는데, 등천리 일대에 노령역, 노령터널 등 ‘노령’이라는 지명이 남아 있다. 등천리 일대는 내장산국립공원 입암산의 서쪽 지역으로, 입암산 동쪽 계곡에서 상당수의 노랑붓꽃이 출현하는 것으로 보아 기준 표본 채집지일 가능성이 크다.

우리나라 특산식물인 노랑붓꽃을 보호하고자 내장산국립공원 내 자생지는 2026년까지 특별보호구역[지정 면적 936㎡]으로 지정되어 사람의 출입과 차량 통행, 탐방객 수 제한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