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양꽃 이전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393
영어공식명칭 Orange-Flower Surprise Lily
이칭/별칭 내장 상사화,가을가재무릇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식물/식물(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상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9년 - 백양꽃 멸종위기야생생물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8년 - 백양꽃 멸종위기야생생물 지정 해제
지역 내 자생|재배지 내장산국립공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 지도보기
성격 여러해살이풀
학명 Lycoris koreana NAKAI.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속씨식물문〉외떡잎식물강〉백합목〉수선화과
원산지 한국
높이 30㎝
개화기 9월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 내장산 일대에 자생하는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

[개설]

백양꽃은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주로 전라도 지역 산지에 분포하는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전라남도 장성군 백양사 인근에서 최초로 발견되어 ‘백양꽃’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는 내장동 내장산 일대에 자생하고 있어 ‘내장 상사화’라고도 불린다. ‘가을가재무릇’이라고도 한다. 백양꽃은 1989년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되었으나 1998년에 해제되었다.

[형태]

백양꽃은 높이 30㎝ 정도로 자란다. 비늘줄기는 달걀 모양이며, 길이 3~4㎝, 지름 2.5~3.5㎝ 정도의 크기에 검은빛이 나는 갈색이다. 잎은 비늘줄기 끝에 모여나며, 길이 50~60㎝, 너비 1.0~1.2㎝의 선형인데, 꽃이 피는 9월 무렵에는 시들어 버린다. 꽃은 꽃줄기 끝에서 4~6개가 산형꽃차례로 무리를 지어 달리며, 노란빛이 도는 주홍색이다. 꽃자루는 길이 2㎝ 정도이며, 꽃싸개는 피침형 2장이다. 꽃덮개는 6장으로 길이 4~6㎝ 정도의 선상 도피침형이다. 수술과 암술은 꽃덮개 밖으로 길게 나온다. 열매는 삭과이며 둥글고, 지름 1.5㎝ 정도이다. 씨는 검은색에 크기는 지름 0.6㎝ 정도이다.

[생태]

정읍시 내장산 일대의 백양꽃은 대부분 비탈진 토양에 자생하고 있다. 강우로 토양이 이입되면 원래의 비늘줄기가 토양에 파묻힐 수 있는데, 그럴 때는 위쪽으로 줄기를 새로 내어 1~3개의 새로운 비늘줄기를 형성하고 원래의 것은 없어진다. 생육환경은 그늘지고 땅이 비옥하고 약간 습한 지역을 선호한다. 씨를 맺지 못하기 때문에 쪽파처럼 생긴 알뿌리로 번식한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내장산국립공원사무소는 가을 단풍과 함께 백양꽃내장산의 새로운 명물로 만들고자 2014년부터 120만 본을 공원 입구부터 내장사 일주문 구간에 집중적으로 심어, 늦여름 내장산을 찾는 탐방객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