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강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829
영어공식명칭 Seomjingang Dam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지명/시설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소순열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40년 11월 - 섬진강댐 착공
준공 시기/일시 1965년 12월 20일연표보기 - 섬진강댐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5년 - 섬진강댐 보조 여수로 준공
현 소재지 섬진강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 지도보기
성격 다목적댐
면적 26.51㎢[만수위 면적]|763㎢[유역 면적]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에 있는 다목적댐.

[개설]

섬진강댐은 우리나라 다목적댐의 효시이다. 국내 최초의 수력발전소인 칠보수력발전소와 1985년 2월 폐쇄된 운암수력발전소가 있는 콘크리트 중력식 댐이다. 칠보수력발전소용 취수 터널과 호남평야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터널을 갖추고 있다. 섬진강댐동진강 하류, 계화간척지 등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호남 지방의 전력난을 해소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건립 경위]

섬진강댐 건립의 직접적인 계기는 농업용수 공급보다는 늘어나는 전력 수요에 있었다. 1929년 건립된 운암댐의 수원은 남선전기주식회사 운암수력발전소의 발전 용수인 동시에 동진토지개량조합의 농업용수로도 이용되었다. 남선전기주식회사와 동진수리조합은 용수 계약을 맺어 남선전기주식회사 측이 동진수리조합에 용수 대금을 지불하였으며 용수 시기도 제한을 받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1941년 12월 15일 남선전기주식회사와 동진수리조합 간에 협정서가 이루어지고, 1942년부터 섬진강 하류에 댐 공사를 진행하게 되었다.

[변천]

1929년 임실군에 운암댐이 만들어졌다. 수자원이 풍부한 섬진강의 물길을 막아 평야에 물을 대기 위한 일환이었지만 낮은 기술력으로 운암댐이 물에 잠기게 되었다. 이후 일제 강점기에 운암댐 2㎞ 아래 섬진강댐을 건설하였다. 1940년 11월 시작한 공사는 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중단되었고, 1948년 정부가 공사를 계속 진행하였지만 또다시 6·25전쟁이 발발하면서 중단되어 섬진강댐 공사는 10년 넘게 방치되었다. 이후 박정희 정부가 들어서면서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으로 재추진되어, 1965년 12월 20일 준공하였다.

[구성]

섬진강댐은 치수 능력 증대와 댐 운영의 정상화 사업 일환으로 보수가 시작되어 2015년 준공된 보조 여수로를 포함하여 4개의 수문과 2개의 여수로로 구성되어 있다. 높이는 64m이고, 제방 길이는 344.2m이며, 총저수 용량은 4억 6600만t에 이른다. 만수위 때의 면적은 26.51㎢이며, 유역 면적은 763㎢, 시설 발전 용량은 3만 4800㎾이다.

[현황]

섬진강댐정읍시 산내면 종성리와 임실군 용수리의 경계에 있다. 간선 수로는 총연장이 6만 6945m, 그 가운데 정읍군 관내가 3만 4500m나 되었으며, 이에 따른 지선 수로가 69㎞에 이르러 몽리 면적도 30㎢가 불어났다. 섬진강댐의 건설로 정읍시와 임실군의 5개 면, 28개 리의 총면적 93㎢가 수몰되었다. 수몰 이주민은 1,210호, 9,067명이었다. 발전에 이용된 유수는 동진강으로 유역을 변경시킴으로써 동진강 하류 지역의 175.43㎢와 계화도 간척지 30.24㎢, 부안 농지 확장 지구 49.58㎢ 등 총 453.22㎢에 관개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용수 공급량은 관개용수가 연간 3억 7000만t이고, 홍수 조절 용량은 3030만t이며, 발전량은 연간 1억 8100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