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234
한자 宗聖里
영어공식명칭 Jongseong-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허인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산내면 종성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산내면 종성리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로 개편
성격 법정리
면적 14.94㎢
가구수 101가구
인구[남/여] 156명[남 81명|여 75명]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순무선봉진등록(巡撫先鋒陣謄錄)』의 1894년(고종 31) 기록과 『각사등록(各司謄錄)』 전라도편 4 전라남북도각군소장(全羅南北道各郡訴狀) 2의 1900년 10월 기록에는 종송리(種松里)로 나타난다. 반면 『각사등록』 전라북도 4 전라북도선유일기(全羅北道宣諭日記)의 1908년 2월 기록에는 종성리(宗聖里)로 나타난다. 임병찬의 문집인 『돈헌유고(遯軒遺槁)』에는 동학농민운동을 주동한 김개남을 사로잡은 곳인 까닭에 고종이 ‘종성리(宗聖里)’라는 지명을 하사하였다고 전한다.

[형성 및 변천]

본래 태인군 산내변면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백운동(白雲洞), 백여리(白如里), 묵동(墨洞), 종성리, 백학동(白鶴洞), 용운리(龍雲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중심 마을 이름을 따서 전라북도 정읍군 산내면 종성리로 개설되었다. 1995년 1월 1일 전국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가 되었다. 1987년 1월 1일 행정 구역 개편에 의하여 가리점과 희여터 등 종성3리 일부가 임실군 강진면에 편입되었다. 2014년 1월 1일 이화동마을이 황토마을에서 독립하여 행정상 분리되었다.

1803년(순조 3)에 제작된 「산내이변향약안(山內二邊鄕約案)」에는 종송(宗松)·황토(黃土)·이화(梨花)·용은(龍隱)·용강(龍江)·희여터[白如峙]가, 1872년에 제작된 지방 지도 가운데 하나인 「태인현지도(泰仁縣地圖)」에는 종송(宗松)·황토(黃土)·용은(龍隱)·용강(龍江)·이화(梨花)·희여터[白如峙]가 표기되어 있다.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1912년]에는 용은동(龍隱洞)·황학동(黃鶴洞)·황토리(黃土里)·하리동(下梨洞)·상리동(上梨洞)·종성리(宗聖里)·백학동(白鶴洞)·안성대(安城臺)·희여터[白如峙]·백운동(白雲洞)·먹구니[墨洞]·백학동(白鶴洞)이, 『정읍군지』[1936년]에는 종성리에 종성리(宗聖里)·황토리(黃土里)·이화동[梨花里]·따슨골[溫谷里]·백운동(白雲洞)·안성대[安城里]·하리동(賀里洞)이, 『태인지』[1965년]에는 황토리(黃土里)·이화동(梨花洞)·용운동(龍雲洞)·종송(宗松)·앵성대(鷪聲臺)·희여터[白如峙]·마점(磨店)이, 『증보 정읍군지』[1974년]에는 종성리에 백운동(白雲洞)·백여리(白如里)·묵동(墨洞)·경성리(京聖里)·백학동(白鶴洞)·안성리(安城里)·상이리(上梨里)·하이리(下梨里)·황토리(黃土里)·황학동(黃鶴洞)[태인군 산내일변면]·청동(淸洞)·용운리(龍雲里)[태인군 산내일변면] 각 일부가 자연 마을로 기재되어 있다.

[자연환경]

종성리는 회문산 북쪽 자락에 있으며, 장검산과 회문산 장군봉 등이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섬진강댐으로 인하여 생긴 인공 호수인 옥정호를 마주하고 있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종성리의 면적은 14.94㎢이며, 인구는 101가구, 156명[남자 81명, 여자 75명]이다. 종성리산내면의 동부에 있으며, 동쪽으로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강진면 용수리, 서쪽으로 장금리, 남쪽으로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구림면 금창리, 북쪽으로 두월리와 접하고 있다. 종성리의 마을로는 종성1리[황토마을], 종성2리[종성마을], 종성3리[이화동마을]이 있다.

1961년 8월 착공하여 1965년 12월 준공된 우리나라 최초의 다목적 댐인 섬진강댐종성리와 임실군 강진면에 걸쳐 있다. 문화유산으로는 도기념물인 임병찬창의유적지[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가 있다. 황토마을에는 1928년에 지어진 난국정(蘭菊亭)이라는 정자가 있다. 난국정섬진강댐의 건설로 옥정호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1965년 현재의 자리로 이전하였다. 관광지로는 옥정호로 유입되는 한 줄기 물이 흐르는 이화동계곡이 있다. 2㎞에 달하는 계곡이 자연 그대로의 형태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