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864 |
---|---|
한자 | 國立全北氣象科學館 |
영어공식명칭 | National Jeonbuk Meteorological Science Museum |
분야 | 정치·경제·사회/과학 기술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서부산업도로 168-43[상평동 산15-16]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문만용 |
개관|개장 시기/일시 | 2016년![]()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23년 7월 7일 - 국립전북기상과학체험관 개관 |
현 소재지 | 국립전북기상과학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서부산업도로 168-43[상평동 산15-16]![]() |
성격 | 과학관 |
전화 | 063-538-0665 |
홈페이지 | https://science.kma.go.kr/jbsci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상평동에 있는 전주기상지청 산하 과학관.
[건립 경위]
국립전북기상과학관은 중학교 자유 학기제에 따른 기상 과학 교육의 지역 센터 역할을 수행하고, 이야기가 있는 과학전, 지식이 있는 프로그램, 재미가 있는 현장 체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2011년 한국천문연구원의 타당성 조사 및 기본 구상 용역을 토대로 2013년부터 공사를 시작하여, 2016년 12월 국립전북기상과학관을 개관하였다. 2017년 1월부터 정식 운영에 들어갔으며, 2018년 10월부터 유료화 운영으로 전환하였다. 2023년 7월 7일 추가로 국립전북기상과학체험관을 열었다.
[구성]
국립전북기상과학관은 3층 규모의 전시관 건물이다. 체험 전시실, 천체 투영실, 기후 변화 이해 교실, 4D 다면 영상관, 천체 관측실 등을 갖추고 있다. 기후나무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기후 및 기상 과학 문화의 흐름을 한눈에 살펴보고 과거 기상 관측 장비를 체험할 수 있는 기상 관측 마당과, 각종 기상 관측 장비가 설치된 기상 관측 장소로 구성된 야외 전시 공간도 있다. 추가로 신축한 국립전북기상과학체험관은 총 1만 9751㎡ 부지에 지상 2층, 옥탑 구조로 되어 있다.
[현황]
국립전북기상과학관은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하루 3차례 주간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매주 수, 금, 토요일에는 야간 천문 체험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250㎜ 대형 굴절 망원경이 있는 천체 관측실에서 낮에는 태양을 볼 수 있으며, 밤에는 별, 행성 등의 천체를 관측할 수 있다. 과학관에 대한 항공뷰에서부터 과학관의 각 시설을 볼 수 있는 사이버 과학관도 운영한다. 여름방학과 겨울방학 중에는 날씨, 기후 변화, 기상 재해, 천체 망원경, 별자리, 행성 등 기상과 기후 변화, 우주 과학을 주제로 방학 특별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특별 프로그램과 학교 단체 체험 교육 프로그램, 진로 탐색 체험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