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867
영어공식명칭 Center for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Microorganisms
분야 정치·경제·사회/과학 기술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첨단과학로 241[신정동 1627]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문만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6년 5월 - 재단법인 농축산용 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 설립 허가
설립 시기/일시 2017년 9월 26일연표보기 - 농축산용 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 설립
현 소재지 농축산용 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첨단과학로 241[신정동 1627]지도보기
성격 연구 지원 기관
전화 063-536-6001
홈페이지 http://www.cialm.or.kr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정동에 있는 농축산용 미생물 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설립된 지원 기관.

[개설]

농축산용 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는 농림축산식품부,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전북대학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이 협력하여 설립한 기관이다. 농축산용 미생물 산업을 종합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

[설립 목적]

농축산용 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는 친환경 농산물의 수요가 늘어나고 가축 사료 내 항생제 사용이 금지되면서 날로 증대하는 농축산용 미생물의 육성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농축산용 미생물 관련 산업화를 지원하고, 미생물 제품화를 추진하며,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 및 컨설팅을 목적으로 한다.

[변천]

2014년 농림식품부는 산업화 기반이 열악한 농축산용 미생물 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농축산용 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 설립을 추진하여 전국 광역 지방 자치 단체를 대상으로 공모 사업을 진행하였다. 2015년 전국 광역 지방 자치 단체 대상 공모 사업 결과, 전라북도 정읍시가 최종 사업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2016년 5월 농축산용 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가 재단 법인으로 설립 허가가 났다. 2017년 9월 26일 장비를 구축하고 건물을 준공하여 개소식을 갖고 운영에 들어갔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농축산용 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는 농축산물 미생물 제품화 연구와 전략형 기업 육성 컨설팅 사업, 농축생명 산업의 R&D, 교육 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 농축산물 미생물 제품화 연구 사업은 미생물 산업 소재의 연구 개발, 유용 미생물 효능 검증과 기능 분석, 유용 미생물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하여 미생물 제품의 연구, 개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사업화를 지원한다. 전략형 기업 육성 컨설팅인 창업 아이템 및 우수 기술 발굴에서부터 사업 타당성 평가, 인허가, 마케팅, 특허 출원 등 기업의 사업화와 네트워크 구축을 원스톱으로 지원한다.

농축생명 산업 R&D 부문에서는 유용 미생물 현장 적용 연구 개발, 축산용 복합 미생물 제제 개발 및 실증 연구, 유용 미생물 대량 생산 공정 개발과 미생물 및 유전체 기반 고부가 소재 개발, 지역 현안 해결형 미생물 기반 선도 기술 개발, 동식물 마이크로바이오 활용 기술 개발 등의 일을 하고 있다. 또한 전문화를 활용한 미생물 사업화 교육, 산학연민관 미생물 종사자 대상 이론 및 실습 교육, 농업기술센터 장비 구축 및 운영 컨설팅, 자문 위원 활용 연구·산업화·일반 운영 등을 위한 기업 간담회 진행 등 교육 사업도 수행한다.

[현황]

농축산용 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는 부지 1만 4854㎡, 연면적 6,525㎡의 지상 4층 지하 1층 규모이다. 창업보육실[16실], R&D연구실, 공동기기실, 분석실, 시험생산동[면적 900㎡] 및 교육 시설을 갖추고 있다. CACC[Cialm Agricultural Cultures Collection] 자원 은행을 구축하여 다양한 농축산용 미생물을 분리 동정하여 보존하고 있다. 농축산용 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 조직은 기술산업화팀, 기술지원팀, 기획운영팀과 자문위원회, 운영위원회가 있다.

[의의와 평가]

농축산용 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는 갈수록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친환경 농업을 지원하는 핵심 기관의 하나이다. 미생물 제품화 연구 개발, 사업화 지원, 우수 기술 보급, 미생물 소재 DB 구축, 교육 컨설팅 업무 등 다양한 역할을 맡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