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882
한자 寶林寺
영어공식명칭 Bolimsa Temple
이칭/별칭 보림암
분야 종교/불교
유형 기관 단체/사찰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보림1길 497[보림리 938]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경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22년 10월 - 보림사 대숲길 ‘쉼’ 음악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23년 10월 14일 - 보림사 ‘2023 정태춘 박은옥과 함께하는 보림사 대숲길 쉼 음악회’ 개최
현 소재지 보림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보림1길 497[보림리 938]지도보기
성격 사찰
창건자 청환
전화 063-535-6800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보림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 선운사의 말사.

[건립 경위 및 변천]

보림사(寶林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 선운사의 말사이며, 864년(경문왕 4) 보조국사 지눌의 수제자 청환(淸奐)이 창건하였다는 설이 전한다. 창건 이후 수선안거(修禪安居)의 도량으로 이어져 왔다. 조선 시대 숭유억불 정책으로 많은 사찰들이 폐찰될 때 보림사는 호남 성리학의 대가인 일재(一齋) 이항(李恒)[1499~1576]이 머물며 공부하기 위한 서원으로 활용하면서 폐찰되지 않고 남아 있게 되었다.

태인현감 신잠(申潛)과 전라도관찰사 송인수(宋麟壽) 등이 보림사를 왕래하며 이항의 강론을 들었으며 서당을 중건하였다고 한다. 보림사 극락전 바로 아래에 있는 요사채가 서당으로 추정되고 있다. 언제부터인가 중들의 사암(寺庵)이 되어 보림암(寶林庵)으로 불리다가, 근래 들면서 보림사(寶林寺)라고 부르고 있다.

[활동 사항]

보림사는 2023년 현재 매월 첫째 토요일 신도회 정기 법회와 둘째 토요일 거사불자회 법회 등 토요 법회를 열고 있다. 매주 목요일 오전과 토요일 오후에는 재가 불자들의 명상 수행을 위하여 ‘열린 선방’을 열고 있다. 보림사는 2022년 10월 주지 종진과 보림사 신도회인 보림불공회가 9,917.4㎡ 규모의 대숲 길 조성을 축하하는 대숲길 ‘쉼’ 음악회를 개최하였다. 2023년 10월 14일에는 ‘2023 정태춘 박은옥과 함께하는 보림사 대숲길 쉼 음악회’를 개최하였는데 무아차회 시연을 시작으로 시 낭송, 싱잉볼 연주, 현악 4중주, 뮤지컬 배우의 공연, 4대 종교 성직자로 구성된 ‘만남중창단’의 중창 등으로 진행되었다.

한편 보림사는 2023년부터 음력 정월과 초파일이 들어 있는 4월을 제외한 10달 동안 매월 초하루마다 지역 경로회관에서 ‘찾아가는 초하루’ 행사를 열고 있다. 불자들이 노령화하고 산중 사찰이라 접근성이 떨어져 법회 운영이 어려워지자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승려와 불자들이 나선 것이다. 종교가 다른 이를 배려하여 종교적인 행사는 배제하고 있다. 보림불공회는 인근 학교에 장학금을 전달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주지 종진은 열린 사찰을 표방하면서 지장전, 산신각, 문수보살상 건립을 위한 사찰 불사에 정진하고 있다.

[현황(조직,시설 현황 포함)]

보림사 경내에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구조의 대웅전과 극락전, 무량대방(無量大房), 요사채, 범종각, 종무소 등이 조성되어 있다. 대웅전 내부에는 석가모니불을 주불로 좌우에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이 협시불로 봉안되어 있다. 무량대방은 명상을 위한 건물이며 불자들의 수행을 위하여 조성하였다. 사찰 입구에는 보림사 중수 사적비(寶林寺 重修 事蹟碑)가 있다. 또한 보림사 앞 언덕의 바위에는 ‘일재 강마지소 숭정기원후 임□사월(一齋 講磨之所 崇禎紀元後 壬□四月)’이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일재 이항을 제향하는 남고서원보림사로부터 1.5㎞ 지점에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