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888 |
---|---|
한자 | 泰仁鄕校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향교2길 45[태성리 182-1]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이동희 |
건립 시기/일시 | 1421년![]() |
---|---|
이전 시기/일시 | 1510년 - 태인향교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성리 182-1로 이전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10년 - 태인향교 중수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84년 4월 1일 - 태인향교대성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75호 지정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86년 9월 8일 - 태인향교만화루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1호 지정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11월 19일 - 태인향교대성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변경 지정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11월 19일 - 태인향교만화루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변경 지정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4년 1월 18일 - 태인향교대성전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로 변경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4년 1월 18일 - 태인향교만화루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변경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4년 5월 17일 - 태인향교대성전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4년 5월 17일 - 태인향교만화루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
현 소재지 | 태인향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향교2길 45[태성리 182-1]![]() |
성격 | 향교 |
양식 | 전학후묘 |
정면 칸수 | 4칸[만화루]|5칸[명륜당]|3칸[대성전]|4칸[장수재] |
측면 칸수 | 2칸[만화루]|3칸[명륜당]|3칸[대성전] |
소유자 | 향교재단 |
관리자 | 향교재단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성리에 있는 조선 전기 향교.
[개설]
향교는 읍의 대소에 따라 봉안한 위패 봉안수를 달리하여 대설위, 중설위, 소설위로 나눈다. 태인향교(泰仁鄕校)는 공자를 비롯한 중국 5성과 4현, 우리나라의 동방 18현을 봉안한 소설위 향교이다.
[위치]
태인향교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향교2길 45[태성리 182-1]에 있다. 태인동헌에서 직선거리로 서쪽 약 500m 지점인 성황산[태인면]의 남서쪽 기슭에 있다. 주변 지역은 조선 시대 태인현의 읍치가 있었던 곳으로 태인동헌, 정읍 피향정, 태인 김부곤가옥 등이 있다.
[변천]
태인향교는 1421년(세종 3) 건립되어 성현의 위패를 봉안하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담당하였다. 건립 당시는 태인면 서쪽 3리[1.17㎞]에 있었는데 1510년(중종 5) 현재의 자리로 이전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복원하였으며, 1910년 중수하였다.
[형태]
태인향교는 산자락 밑으로 지대가 약간 경사지며 강학 공간이 앞에 오고 제향 공간이 뒤에 배치된 전학후묘(前學後廟) 형태이다. 홍살문을 지나 외삼문 자리에 문루인 만화루(萬化樓)가 있고, 만화루를 들어서면 정면에 강학 공간 학사(學舍) 명륜당(明倫堂)이 나오며, 뒤로 내삼문을 지나 공자와 성현들의 위패를 봉안한 배향 공간 문묘(文廟) 대성전(大成殿)이 배치되어 있다. 명륜당 좌우의 부속 건물 동재와 서재, 대성전 좌우의 부속 건물 동무(東廡)와 서무는 없다. 대성전 우편으로 장수재(藏修齋)가 있다.
만화루는 정면 4칸, 측면 2칸, 팔작지붕의 누각이다. 현판 ‘만화루’의 의미는 ‘공자의 도로 만물을 교화시킨다[공자지도 만물화생(孔子之道 萬物化生)]’는 뜻이다. 아래층에 향교 출입문을 만들고 위층에 누를 둔 구조인데, 정면을 짝수 칸으로 하여 출입문을 둘로 나누어 낸 것이 특징적이다. 기단 중앙부를 끊어 장대석으로 만화루로 들어가는 넓은 계단을 만들었으며, 만화루 기둥 주춧돌은 커다란 자연석을 사용하였다. ‘만화루’ 현판 글씨는 1797년(정조 21) 태인현감 조항진이 쓴 것이다.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이며,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이다. 맞배지붕 양합각에는 방풍판을 달았다. 장수재는 정면 4칸의 우진각지붕이다.
[현황]
태인향교는 교육 기능은 사라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봄가을에 석전제를 지내고, 매달 삭망에 분향례를 지낸다. 태인향교대성전은 1984년 4월 1일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75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로 바뀌었다. 태인향교만화루는 1986년 9월 8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변경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바뀌었다.
[의의와 평가]
태인 지역은 선비 문화가 발전한 곳으로 태인향교는 선비 문화의 상징적인 기관이다. 특이한 형태의 만화루는 건축적으로도 주목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