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892
한자 南皐書院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보림1길 396[보림리 880-1]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동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577년연표보기 - 남고서원 건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685년 - 남고서원 사액
훼철|철거 시기/일시 1871년연표보기 - 남고서원 훼철
개축|증축 시기/일시 1899년 - 남고서원 강수재 중건[1899]
개축|증축 시기/일시 1927년 - 남고서원 문경사 중건[1927]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2년 - 남고서원 강수재 중건[1982]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4월 1일연표보기 - 남고서원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76호 지정
개축|증축 시기/일시 1991년 - 남고서원 문경사 중건[1991]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남고서원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남고서원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로 변경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남고서원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현 소재지 남고서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보림1길 396[보림리 880-1]지도보기
성격 서원
양식 전학후묘
정면 칸수 4칸[강당]|3칸[사당]
측면 칸수 3칸[강당]|3칸[사당]
문화재 지정 번호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보림리 관동마을에 있는 조선 전기 서원.

[개설]

남고서원(南皐書院)은 1577년(선조 10) 대학자 일재(一齋) 이항(李恒)[1499~1576]을 모시는 사우로 1577년 창건되었으며, 이후 이항의 제자인 의병장 건재(建齋) 김천일(金千鎰)[1537~1593]을 배향하였다. 이항은 대학자로 16세기 호남 사림의 한 맥을 형성하였으며 문도들에서 임진왜란 때 김천일을 비롯한 많은 의병장들이 나왔다. 이항은 한양 출신으로 30세에 학문의 길로 들어섰으며, 이후 태인현 분동으로 이주하여 강학하였다. 임천군수를 지냈고 이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문경이다. 조선 후기 이항을 비롯하여 유희춘, 노진, 박순, 기대승 등 ‘호남 5현’을 향교 문묘에 배향하자는 운동이 일었다. 김천일은 나주 출신으로 학행으로 발탁되어 담양부사를 지냈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창의하여 호남의 대표적인 의병장으로 활약하였다. 1593년 2차 진주성전투에 참전하여 진주성이 함락되자 아들 김상건과 함께 촉석루에서 남강에 몸을 던져 순절하였다. 남고서원은 1685년(숙종 11) ‘남고’라는 편액을 받아 사액 서원이 되었다. 1984년 4월 1일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7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로 바뀌었다.

[위치]

남고서원은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보림1길 396[보림리 880-1]에 있다. 지방도 제708호[칠북로]를 타고 가다 마태실마을 부근에서 보림길로 들어가서 가정마을을 지나면 관동(冠洞)마을이 나온다. 서원이 있어 ‘관동마을’로 불렸다. 계곡을 끼고 도로를 따라 가면 관동마을 경로회관을 지나서 있다. 칠보산 자락에 있으며 일제 때 옛 삿갓을 많이 만들어 팔아서 갓점, 입점(笠店)마을로 불렸다.

[변천]

남고서원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71년(고종 8) 훼철되었다. 1899년 강수재를 중건하였으며, 1927년 사우를 중건하고 김점(金坫)·김복억(金福億)·김승적(金承績)을 추배하였다. 서원 건물이 퇴락하여 1982년 강수재를 중건하였으며, 1989년 사우를 중건하고 소산복(蘇山福)을 추가로 배향하였다. 이때 내외삼문, 축대, 담장 등도 수축하였다. 1990년 장마로 사우가 붕괴되어 1991년 다시 사우를 중건하였다.

[형태]

남고서원은 홍살문 바로 위에 외삼문이 있고. 우측에 관리사가 있다. 외삼문 옆 담자락에 강학 공간으로 들어가는 협문이 있다. 외삼문을 지나면 강당 강수재(講修齋)가 있고 위에 내삼문을 지나 사우 문경사(文敬祠)가 있다. 홍살문 왼쪽 위에 2003년 건립한 남고학당이 있다. 문경사는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이다. 강당 강수재는 정면 4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으로 중앙에는 마루가 있고 좌우에 협실이 있는 구조이다. 남고학당은 정면 4칸이다. 서원 전체가 돌담으로 둘러져 있다.

[의의와 평가]

이항은 16세기 호남 사림 형성의 주역이고, 김천일은 임진왜란 때 대표적인 의병장이다. 이항과 김천일을 배향하고 있는 남고서원은 호남 유학사와 임진왜란 의병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