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908 |
---|---|
한자 | 忠烈祠 |
영어공식명칭 | Chungnyeolsa Shrine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충정로 228-13[수성동 615-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류호석 |
건립 시기/일시 | 1963년 4월 28일![]() |
---|---|
현 소재지 | 충렬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충정로 228-13[수성동 615-1]![]() |
성격 | 사당 |
양식 | 목조|팔작지붕 |
정면 칸수 | 3칸 |
측면 칸수 | 2칸 |
소유자 | 정읍시 |
관리자 | 충렬사 관리사무소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수성동에 있는 이순신을 제향하는 사당.
[개설]
충렬사(忠烈祠)는 이순신을 제향하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진산동에 있었던 유애사(遺愛祠)가 1868년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된 뒤에 세워졌다. 임진왜란의 영웅 이순신은 1589년 12월부터 임진왜란 직전인 1591년 3월 전라좌수사로 이임하기 전까지 정읍현감으로 재직하였다. 광복 직후 유애사가 훼철된 것을 아쉬워하였던 전북특별자치도의 초·중·고등학교의 학생들을 비롯한 도민들이 성금을 모아 1946년 충렬사창건기성회를 구성하여 충렬사 건립을 주도하였다. 1949년 8월 공사를 시작하였으나 6·25전쟁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가 1963년 4월 준공되었다. 정읍에는 이순신을 추모하는 사당이 충렬사와 1974년 중건된 유애사가 있다.
[위치]
충렬사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충정로 228-13[수성동 615-1]에 있다. 정읍시청 바로 옆에 있는 충무공원 안에 있다.
[형태]
충렬사 사당은 1동 3칸으로 목조 와즙의 팔작지붕이다. 충렬사 입구인 홍살문을 지나면 1985년 건립한 선양루(宣揚樓)와 효충문(效忠門)이 세워져 있다. 2층 누각의 선양루는 요천(樂泉) 장연풍(張然豊)이 세웠다. 효충문은 충렬사로 들어가는 솟을대문으로 1977년 9월 장연풍이 세웠다. 여기에 걸린 편액은 강암(剛菴) 송성용(宋成鏞)[1913~1999]의 글씨이다. 효충문을 지나면 이순신의 위패와 영정을 모신 충렬사가 있다. 주변에는 ‘충렬사 창건 기념비(忠烈祠 創建 紀念碑)’가 세워져 있다.
[현황]
충렬사는 매년 4월 28일 이순신의 덕과 충의 정신을 기리는 제사를 지낸다. 충렬사는 충렬사 관리사무소가 관리하고 있으며 문화 관광 해설사가 있어 관광객 방문 시 해설을 하여 준다.
[의의와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