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978
한자 井邑詞國樂院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지명/시설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4길 23[시기동 87]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성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준공 시기/일시 1991년 10월 21일 - 정읍사국악원 준공
개관|개장 시기/일시 1992년 2월 26일연표보기 - 정읍사국악원 개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20년 - 정읍사국악원 ‘아름드리 연주단’ 제6회 벼고을 국악제 전국전통국악경연대회’에서 학생부 대상 수상
현 소재지 정읍사국악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4길 23[시기동 87]지도보기
성격 국악원
면적 7,956㎡[대지 면적]|1,086.2㎡[연면적]
전화 063-539-6427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동에 있는 국악 교육장.

[건립 경위]

정읍사국악원은 정읍의 전통 문화예술의 보전·육성과 정읍 시민의 정서 함양 및 국악의 저변 확대를 위하여 설립하였다.

[변천]

정읍사국악원은 1990년 10월 착공하여, 1991년 10월 21일 준공하였고, 1992년 2월 26일 개관하였다. 시비 1억 4300만 원과 미원그룹[현 대상그룹]의 지원금 4억 6200만 원 등 총 6억 500만 원이 투입되었다.

[구성]

정읍사국악원은 2층 건물이며, 대지 면적은 7,956㎡, 연면적은 1,086.2㎡이다. 1층은 강의실 4실, 소공연장과 대기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2층에는 강의실 3실과 휴게실이 있다.

[현황]

정읍사국악원정읍시립국악단이 상주하며, 정기 공연, 교육 등을 진행하고 있다. 교육 프로그램은 주야간으로 나누어 실시하고 있다. 주간 교육 시간은 판소리반·가야금반·무용반·대금반·고법반 모두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다. 야간 교육 시간은 판소리반·무용반·고법반은 월요일과 수요일 오후 7시부터 8시까지, 가야금반·대금반은 화요일과 목요일 오후 7시부터 8시까지이다. 교수진은 윤상호, 장승희, 김일환, 김종배, 박상주이다.

판소리반은 「세종제 춘향가」, 「강산제 심청가」, 「강산제 수궁가」 판소리뿐만 아니라 판소리 고법과 「육자배기」·「흥타령」·「새타령」과 남도 민요를 배울 수 있으며, 가야금반은 성금연류 가야금산조, 15현, 18현 가야금 창작곡, 가야금 병창 등을 다양하게 배울 수 있다. 무용반은 한국무용의 기초, 살풀이, 태평무, 창작무 등을 배울 수 있다. 2019년 7월 신규 개설된 고법반은 판소리 장단[북]을 중심으로 민요 장단[장구] 등 우리 전통의 고법(鼓法)을 배울 수 있다.

2007년부터 가야금 학생 연수생으로 구성된 ‘아름드리’ 연주단이 결성되어 지역에서 공연 활동을 펼치고 있다. 아름드리 연주단은 2020년 ‘제6회 벼고을 국악제 전국전통국악경연대회’에서 학생부 대상을 수상하였다. 2019년에는 정읍사국악원의 무용반 교수로 재직 중인 김일환이 제27회 전국전통공연예술경연대회에서 대상인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2022년에는 제15회 무진전국국악대전에서 국악원 연수생인 정주고등학교 2학년 심하은이 무용 부문에 고등부 대상, 최명화가 일반부 최우수상, 모숙자가 일반부 우수상을 차지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