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1196 |
---|---|
한자 | 井邑市立農樂團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읍사로 498-9[시기동 83-10]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창주 |
설립 시기/일시 | 1991년![]() |
---|---|
해체 시기/일시 | 2002년![]() |
설립 시기/일시 | 2011년![]() |
현 소재지 | 정읍시립농악단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읍사로 498-9[시기동 83-10]![]() |
성격 | 예술 단체 |
설립자 | 서남규 |
전화 | 063-539-6428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동에 있는 전통 예술 공연 단체.
[설립 목적]
정읍시립농악단은 호남 우도 농악의 뿌리인 정읍농악의 역사를 재조명하고 지역 전통문화 유산의 전승·발전과 시민들의 정서 함양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정읍시립농악단은 1991년 서남규를 단장으로 하여 창단되었으며, 상쇠 유지화를 초청하여 정읍농악을 부흥시키고자 노력하였다. 1995년에서 2001년까지는 김동곤이 단장을, 2002년에는 유재복이 단장을 맡아 하다가, 2002년 해체되었다. 이후 2007년부터 2010년까지 황원식이 단장을 맡아 유지하였다. 본격적으로 전문 공연 단체를 구성한 것은 2011년으로 전공 단원을 뽑아 정읍시립농악단으로 출범하면서부터이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정읍시립농악단은 정읍농악의 대중화 및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각종 농악 대회에 참가하여 우승하는 등 정읍농악의 인지도 제고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창단된 해인 2011년 9월에는 임방울국악제 전국농악경연대회에 출전하여 국회의장상인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2013년 5월에는 ‘2013 전북민속예술축제’에 참가하여 최우수상을 받았으며, 전라북도 대표로 출전하여 전국민속예술축제에서 은상을 수상하였다.
해마다 정기연주회와 상설 공연, 특별 공연 등을 시민들에게 선보이고 있으며, 정읍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문화 행사, 정읍예술제, 동학농민혁명기념제, 축제 등에서 공연을 하고 있다. 또한 정읍농악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해외 초청 공연과 고성, 함평, 사천, 밀양, 함안, 구미, 전주 등 관외 초청 공연도 하고 있다.
2023년에는 3월 18일부터 11월 4일까지 매주 토요일에 내장산문화관장 어린이 놀이터에서 ‘정읍농악 9경가세’라는 제목의 상설 공연을 펼치고 있으며, 2023년 정기 공연으로 ‘한가위 정읍농악 한마당’이 9월 27일 진행되었다.
[현황]
정읍시립농악단은 상임 단원으로 농악단장 1인과 단무장 1인, 상임 단원 10명, 비상임 단원 4명 등 총 16명의 단원들이 활동하고 있다. 2023년 현재 농악단장은 국가무형유산 남사당놀이 이수자인 길기옥이 맡고 있으며, 단무장은 전북특별자치도 무형유산 정읍농악 이수자인 김정곤이다. 정읍농악전수회관에 사무실이 있으며, 공연 연습의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