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987
한자 井邑詞文化祭
이칭/별칭 정읍사부부사랑축제,내장산단풍부부사랑축제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행사/행사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성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0년 8월 23일 - 정읍사문화제 제전위원회 설립
시작 시기/일시 1990년 10월 18일연표보기 - 제1회 정읍사문화제 개최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4년연표보기 - 정읍사문화제에서 정읍사부부사랑축제로 개칭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7년연표보기 - 정읍사부부사랑축제에서 내장산단풍부부사랑축제로 개칭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0년연표보기 - 내장산단풍부부사랑축제에서 정읍사문화제로 개칭
행사 장소 정읍사문화공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읍사로 541 일원지도보기
주관 단체 정읍사문화제 제전위원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충정로 253-23[수성동 607-6]지도보기
행사 시기/일시 매년 9월|10월
전화 063-532-8880
홈페이지 http://www.jchf.or.kr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 「정읍사」를 주제로 개최하는 축제.

[개설]

정읍사문화제의 모티프인 「정읍사」는 현존하는 유일한 백제 노래이자 한글로 전해지는 가장 오래된 노래이다. 행상을 나간 남편이 무사히 집으로 돌아오기를 기원하는 내용의 가사에 백제 여인의 지고지순한 사랑이 담겨 있다.

[연원 및 개최 경위]

정읍사문화제는 백제가요 「정읍사」의 역사적·문학적·문화적 가치를 보존하고, 정읍사 여인의 부덕·부도 정신을 계승하고자 구성한 축제이다. 1990년 8월 23일 정읍사문화제 제전위원회가 설립되었으며, 1990년 10월 18일 제1회 정읍사문화제를 개최하였다. 1996년 제7회 정읍사문화제부터는 내장산 단풍축제와 공동으로 개최하였으며, 2003년 14회부터 정읍사문화제 단일 행사로 진행하였다. 2004년 15회부터는 정읍사부부사랑축제로 명칭을 변경하여 진행하였고, 2007년 제18회부터는 부부사랑축제와 단풍축제를 결합하여 내장산단풍부부사랑축제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2010년 제21회부터는 정읍사문화제로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2023년 제34회를 진행하였다.

[행사 내용]

정읍사문화제의 공식 행사는 채수(採水)[「정읍사」의 배경인 정해마을에서 맑은 샘물을 긷는 행위] 의례 및 정읍사 여인 제례, 개막식 및 부도상(婦道賞) 시상, 수제천 연주 등이다. 해마다 축제 내용이 조금씩 달라져 왔으나 대체로 채수 의례를 비롯한 행사들은 정읍사문화제의 주요 프로그램이다. 채수 의례와 정읍사 여인 제례는 정해마을정읍사문화공원 망부사 사우에서 진행되는데, 정읍사 여인을 추모하고 부부애와 가족 사랑의 의를 되새기자는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다. 정읍사문화공원 내 공연장에서는 매해 축제 때마다 축하공연이 펼쳐지며, 정읍사 부도상 시상과 정읍사가요제가 이루어진다.

[현황]

정읍사문화제는 1990년부터 시작되어 해마다 9~10월경에 개최되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하여 2020년 제31회 정읍사문화제에서는 의례와 여인 제례, 백제 여인의 부덕을 기리는 부도상 시상 등 제례 중심으로 축소되어 진행되었다. 2021년 제32회 정읍사문화제는 비대면 행사로 진행되었다. 2022년 9월 24일부터 25일까지 제33회 정읍사문화제가 정읍사문화공원 일원에서 개최되었으며, 기념행사, 공연 행사, 부대 행사, 체험 행사, 연계 행사, 정읍사가요제 등이 기획되어 시민의 참여를 이끌었다. 정읍사문화제 행사는 정읍시가 주최하고, 정읍사문화제 제전위원회가 주관하고 있다.

[참고문헌]
  • 『정읍소식 21』 -가을호(정읍시청, 2022)
  • 정읍사문화제(http://www.jchf.or.kr)
  • 정읍시청(https://www.jeongeup.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