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019
한자 內藏初等學校
영어공식명칭 Naejang Elementary School
이칭/별칭 내장초,내장초교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대석1길 13-4[금붕동 98-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창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인가 시기/일시 1936년 5월 15일연표보기 - 내장공립보통학교 설립 인가
개칭 시기/일시 1938년 4월 1일연표보기 - 내장공립보통학교에서 내장공립심상소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1년 4월 1일연표보기 - 내장공립심상소학교에서 내장공립국민학교로 개칭
폐교 시기/일시 1951년 4월 1일연표보기 - 내장국민학교 폐교
인가 시기/일시 1954년 5월 17일 - 내장국민학교 재인가
개교 시기/일시 1954년 5월 17일연표보기 - 내장국민학교 재개교
개칭 시기/일시 1996년 3월 1일연표보기 - 내장국민학교에서 내장초등학교로 개칭
현 소재지 내장초등학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대석1길 13-4[금붕동 98-1]지도보기
성격 공립 초등학교
전화 063-536-5761[교무실]|063-536-5762[행정실]
홈페이지 https://school.jbedu.kr/naejang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금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소질을 계발하고 진로를 개척하여 큰 꿈을 키우는 자주적인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고 새롭게 탐구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우리 문화의 가치를 이해하고 다문화를 배려하는 어린이, 튼튼한 몸과 마음으로 꿈을 키워 가는 건강하고 미래 지향적인 어린이’ 육성이다. 교훈은 ‘슬기롭고 예의 바르며 건강한 어린이가 되자’이다.

[변천]

내장초등학교는 1936년 5월 15일 내장공립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 1938년 4월 1일 내장공립보통학교에서 내장공립심상소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41년 4월 1일 내장공립심상소학교에서 내장공립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해방 후 내장공립국민학교에서 내장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51년 4월 1일 학교가 소실되어 폐교하였다가, 1954년 5월 17일 내장국민학교로 재인가되어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 내장국민학교에서 내장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교육 활동]

내장초등학교는 인성과 창의성을 겸비한 조화로운 인재를 육성하기 위하여 ‘바른 인성 함양’과 ‘참 학력 신장’에 중점을 둔 교육을 운영하고 있다. 중점 교육 활동으로는 첫째, ‘내 안의 인성과 꿈을 키우는 SW[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정보 윤리 의식 교육과 함께하는 SW 교육을 통하여 올바른 인성을 함양하고 진로 인식을 확대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다. 세부 추진 교육 프로그램으로는 SW 선도 학교 운영, 3~6학년 코딩 수업, SW 동아리 운영, SW 창의 대회 등이 있다. 둘째, ‘감수성을 키우는 1인 1악기 예술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1인 1악기 연주를 통하여 감수성을 함양하는 한편 소질 계발과 진로를 개척하기 위한 교육 활동이다. 1·2학년은 장구, 3·4학년은 난타, 5·6학년은 기타 수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밴드부 운영, 국악 수업 등의 교육 활동 프로그램도 진행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

내장산 정기 어린 배움터에서/ 참되고 슬기롭게 자라는 우리/ 나라와 민족 위해 등불이 되어/ 사랑과 믿음으로 웃음 나누며/ 온 누리 뽐내리라 우리 내장교

2. 교목은 굴거리나무이다.

3. 교화는 철쭉이다.

[현황]

2023년 3월 현재 총 7학급[특수 학급 1학급 포함]에 85명[남학생 49명, 여학생 36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11명 등 13명의 교원과 11명의 직원 등 총 24명이 재직하고 있다. 강당, 정보도서관, 영어체험실, 과학실, 미술실, 시청각실, 돌봄교실, 보건실, 상담실, 급식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2023년 2월 7일 제79회 졸업식을 거행하였으며, 총 4,008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