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1030 |
---|---|
한자 | 所聲初等學校 |
영어공식명칭 | Sosung Elementary School |
이칭/별칭 | 소성초,소성초교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보화1길 130[보화리 178-6]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창주 |
인가 시기/일시 | 1924년 3월 18일 - 소성공립보통학교 설립 인가 |
---|---|
개교 시기/일시 | 1924년 4월 25일![]() |
개칭 시기/일시 | 1938년 4월 1일![]() |
개칭 시기/일시 | 1941년 4월 1일![]()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1년 3월 10일 - 소성국민학교 병설 유치원 개원 |
개칭 시기/일시 | 1996년 3월 1일![]()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8년 3월 1일 - 소성초등학교 남성초등학교 통폐합 |
현 소재지 | 소성초등학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보화1길 130[보화리 178-6]![]() |
성격 | 공립 초등학교 |
전화 | 063-537-2291[교무실]|063-537-2290[행정실] |
홈페이지 | https://school.jbedu.kr/sosung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보화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바른 인성과 창의적인 태도를 지닌 미래의 꿈나무’라는 교육 비전 아래 ‘나를 세우고[세움], 너와 나누며[나눔], 함께 가꾸는 교육[가꿈]’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변천]
소성초등학교는 1924년 3월 18일 소성공립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24년 4월 25일 개교하였다. 1938년 4월 1일 소성공립보통학교에서 소성공립심상소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41년 4월 1일 소성공립심상소학교에서 소성공립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해방 후 소성공립국민학교에서 소성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1년 3월 10일 병설 유치원을 개원하였다. 1996년 3월 1일 소성국민학교에서 소성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8년 3월 1일 남성초등학교를 통폐합하였다.
[교육 활동]
소성초등학교는 창의·인성 교육 강화, 학생 자치 활동의 활성화, 동아리 활동 및 예체능 교육 활성화 등에 중점을 두고 교육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교육 목표를 구현하기 위하여 기초 기본 학습, 자기 주도 학습, 독서 교육, 다문화 교육, 인성·인권 교육, 환경 생태 교육, 봉사 활동, 스포츠 활동, 과학 체험 학습, 현장 체험 학습 등에 중점을 둔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소성초등학교는 학급, 학년, 학교, 지역 사회 구성원으로서 역량을 강화하고 삶과 교육이 연결되는 참 교육을 실천하기 위하여 ‘교육 과정에 스며드는 인성 교육 활성화’를 학교 자율 선택 과제로 진행하고 있다. 교육 과정 재구성을 통하여 인성 교육 활동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물놀이 체험 학습, 공동체가 하나 되는 학교 뒤뜰 야영, 지역 사회와 더불어 살아가기-마을 프로젝트[마을 소풍], 다문화 이해 및 친교 활동-다문화 축제 한마당 등 다양한 인성 프로젝트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
노령산 정기 어린 국사봉 기슭/ 빛나는 보금자리 거룩한 이 기상/ 맑고 고운 푸른 별이 슬기를 모아/ 성스러운 배움길로 앞을 다투세/ 씩씩히 자라고 착실히 배워서/ 한데 뭉쳐 빛을 내세 소성초등학교
2. 교목은 느티나무이다.
3. 교화는 목련이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총 6학급에 25명[남학생 16명, 여학생 9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7명 등 9명의 교원과 12명의 직원 등 총 21명이 재직하고 있다. 도서실, 영어실, 과학실, 컴퓨터실, 음악실, 보건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2023년 1월 12일 제99회 졸업식을 거행하였으며, 총 7,166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