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1035 |
---|---|
한자 | 瓮東初等學校 |
영어공식명칭 | Ongdong Elementary School |
이칭/별칭 | 옹동초,옹동초교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 칠석1길 29-7[칠석리 239]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창주 |
인가 시기/일시 | 1932년 3월 19일 - 옹동공립보통학교 설립 인가 |
---|---|
개교 시기/일시 | 1932년 5월 1일![]() |
개칭 시기/일시 | 1938년 4월 1일![]() |
개칭 시기/일시 | 1941년 4월 1일![]() |
개칭 시기/일시 | 1950년 5월 1일![]()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1년 3월 1일 - 옹동국민학교 병설 유치원 개원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4년 3월 1일 - 옹동국민학교 용호분교장 통폐합 |
개칭 시기/일시 | 1996년 3월 1일![]()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7년 3월 1일 - 옹동초등학교 산성분교장 통폐합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3년 3월 1일 - 옹동초등학교 농산어촌 ICT 활용 시범 학교 지정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3월 1일 - 옹동초등학교 마을 협력형 어울림학교 지정 |
현 소재지 | 옹동초등학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 칠석1길 29-7[칠석리 239]![]() |
성격 | 공립 초등학교 |
전화 | 063-537-8010[교무실]|063-537-8058[행정실] |
홈페이지 | https://school.jbedu.kr/ongdong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 칠석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자신의 진로와 삶을 가꾸는 자주적인 어린이, 스스로 배우며 새롭게 생각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교양 있는 어린이,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더불어 사는 어린이 육성이다. 교훈은 ‘뜻은 높게·생각은 깊게·행동은 바르게’이다.
[변천]
옹동초등학교는 1932년 3월 19일 옹동공립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32년 5월 1일 개교하였다. 1938년 4월 1일 옹동공립보통학교에서 옹동공립심상소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41년 4월 1일 옹동공립심상소학교에서 옹동공립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50년 5월 1일 옹동공립국민학교에서 옹동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1년 3월 1일 병설 유치원을 개원하였다. 1994년 3월 1일 용호분교장을 통폐합하였다. 1996년 3월 1일 옹동국민학교에서 옹동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7년 3월 1일 산성분교장을 통폐합하였다. 2013년 3월 1일 농산어촌 ICT[정보통신기술] 활용 시범 학교에 지정되었고, 2021년 3월 1일 마을 협력형 어울림학교에 지정되었다.
[교육 활동]
옹동초등학교는 역점 교육으로 ‘교실 밖 체험 교육’과 ‘창의·인문학 독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교실 밖 체험 교육은 '봄: 생태', '여름: 건강', '가을: 인문학', '겨울: 문화 예술' 등 주제가 있는 사계절 체험 학습, 교과 및 프로젝트 수업 주제에 따른 학년별 학교 밖 수업, 옹동면 지역과 연계한 마을-환경 프로젝트 학습, 우리 마을 둘레길 걷기, 마을 협력형 어울림학교 사업에 따른 마을 특색이 담긴 체험 학습 등으로 운영하고 있다.
창의·인문학 독서 교육은 도서관 활용 수업을 통한 도서관 활성화, 교육 과정과 연계된 학년별 도서 구입, 주제가 있는 작가와의 만남을 통한 깊이 읽기, 발달 단계에 따른 독서 토론 및 논술 교육, 달빛 독서 캠프를 통한 독서 행사 활동 등의 프로그램으로 진행하고 있다.
특색 교육으로는 체력 증진을 위한 ‘스포츠 교육’과 고운 심성 계발을 위한 ‘음악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스포츠 교육은 나비골프 지도 전문 강사를 활용한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운영, 각종 나비골프 행사 추진 및 교외 대회 출전, 전 학년 스포츠 클럽 활동, 스포츠 주간 운영 등으로 추진하고 있다. 음악 교육은 플루트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운영, 학년별 국악 수업, 1인 1악기 교육, 꿈·끼 발표회 개최 등으로 운영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최세열/ 작곡 오영환]
노령의 푸른 정기 뻗어 내려서/ 호남벌 동산에 우뚝 솟은 배움터/ 아름답게 꾸미고 부지런히 배워서/ 새 나라의 새 일꾼 될 옹동 어린이// 동진강 푸른 물이 흘러내려서/ 호남벌 동산에 꽃피우는 배움터/ 배운 슬기 익히고 튼튼한 몸 길러서/ 새 나라의 새 일꾼 될 옹동 어린이
2. 교목은 소나무이다. 높고 곧은 기상을 상징한다.
3. 교화는 철쭉이다. 곱고 밝은 품성을 상징한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총 6학급에 24명[남학생 12명, 여학생 12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8명 등 10명의 교원과 8명의 직원 등 총 18명이 재직하고 있다. 도서실, 과학실, 컴퓨터실, 영어 체험실, 보건실, 시청각실, 급식실, 돌봄교실, 다목적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체육 시설로는 철봉, 축구대, 구름사다리, 미끄럼틀, 정글짐, 나비골프장 등을 갖추고 있다. 2023년 1월 3일 제88회 졸업식을 거행하였으며, 총 5,257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