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1098 |
---|---|
한자 | 鷗波白貞基義士紀念館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 영원로 1049[은선리 928]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창주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96년 - 구파백정기의사기념사업회 결성 |
---|---|
개관|개장 시기/일시 | 2004년 6월 5일![]()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05년![]() |
최초 설립지 | 구파백정기의사기념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 영원로 1049[은선리 928]![]() |
성격 | 기념관 |
면적 | 20,850㎡ |
전화 | 063-539-5237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 은선리에 있는 항일 독립운동가 백정기 의사를 기리는 기념관.
[건립 경위]
구파백정기의사기념관은 항일 독립운동가 구파 백정기 의사의 서거 70주년을 기념하여, 백정기 의사의 애국정신과 독립 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변천]
1996년 구파백정기의사기념사업회를 결성하고, 1997년 의열사 조성을 시작으로 백정기 의사 기념관을 비롯한 유적지 조성 사업을 진행하였다. 2004년 6월 5일 백정기 의사의 영정 봉안제 및 동상 제막식과 함께 구파백정기의사기념관을 개관하였다. 2005년 국가보훈처[현 국가보훈부]에서 현충 시설로 지정하였다. 1956년 정읍시 영원면 은선리에 백정기 의사의 구국 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구파백정기의사순국기념비를 건립하였으며, 구파백정기의사순국기념비는 2003년 구파백정기의사기념관 근처로 이전하였다.
[구성]
구파백정기의사기념관은 부지 면적 2만 850㎡에 조성되었다. 백정기 의사의 영정을 봉안한 의열사, 유품 및 활동상을 전시하여 놓은 구파 기념관, 교육 공간인 청의당, 의열문, 숭의문, 백정기 의사 동상, 어록비, 순국기념비, 추모비 등이 있다.
[현황]
2023년 현재 구파백정기의사기념사업회가 주관하여 매년 6월 5일 구파백정기의사기념관에서 추모제를 개최하고 있다. 구파백정기의사기념관 인근에는 백정기 의사가 1907년 8월 고부군 북부면 흔랑리[현 정읍시 영원면 은선리]로 이주하여 1919년 중국으로 망명할 때까지 12년간 살던 구파백정기의사고택지[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가 있다. 구파백정기의사기념관은 2007년 정읍시의 지역 대표 관광 자원인 ‘정읍 9경’에 선정되었고, 이후 2016년에도 재선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