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역사문화연구소 이전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115
한자 井邑歷史文化硏究所
영어공식명칭 Jeongeup Institute of History and Culture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학산로 89-36[상동 77-1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재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2013년 11월 25일연표보기 - 정읍역사문화연구소 설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3년 12월 2일 - 정읍역사문화연구소 전북향토문화연구소의 지부로 등록
현 소재지 정읍역사문화연구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학산로 89-36[상동 77-11]지도보기
성격 연구 기관
설립자 김재영
전화 063-533-7386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상동에 있는 지역 역사·문화 연구 기관.

[설립 목적]

정읍역사문화연구소는 전북특별자치도 서남부 지역의 중심인 정읍과 인근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조사 연구하고, ‘정읍학’의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정읍역사문화연구소는 2013년 11월 25일 비영리 법인으로 설립되었으며, 12월 2일 사단법인 전북향토문화연구소의 지부로 등록하였다. 전북향토문화연구소와 학문적인 교류뿐만 아니라 긴밀한 유대 관계를 맺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정읍역사문화연구소는 학술 대회 및 각종 세미나 개최, 주요 사적지 정기 답사 및 인문학 강의를 하고 있으며, 지역의 역사 문화 자원을 활용한 문화 콘텐츠 개발에 역점을 두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와 정읍시의 후원으로 ‘동학농민혁명 이후 근대 민족운동’ 학술 대회[2016], 정읍시의 후원으로 ‘정읍 신종교와 민족운동사 규명’ 학술 대회[2014], 정읍역사문화연구소 자체 학술 대회 ‘전라북도&정읍, 근대의 시작을 엿보다’[2017]를 개최하였다.

정읍역사문화연구소 연구원이 참여하여 발간한 서적으로 『일제강점기 보천교의 민족운동 자료집』Ⅰ~Ⅳ[2017]가 있으며, 학술 대회로 ‘보천교와 보천교인의 민족운동’[2018], 3·1독립만세운동 100주년 기념 학술 대회 ‘일제 강점기 태인 지역의 민족운동’[2019], ‘호남 인재 양성의 산실, 영주정사와 영학숙’ 학술 대회[2021] 등이 있다. 민간 학술 용역으로 ‘태인 무극대도의 역사·문화적 회고 및 전망’ 학술 대회[2018]를 개최하였다.

정읍역사문화연구소에서 간행된 도서로 『정읍 인물 33인을 중심으로 본 근현대 인물 한국사』[2015], 『일제 강점기 보천교의 민족운동』[2017], 『김재영의 역사인문학 강의』[2018], 『한국민족운동사와 정읍』[2019], 『일제 강점기 태인 지역 민족운동사 연구』[2019], 『태인 무극대도의 역사·문화적 회고 및 전망』[2019], 『정읍시 향토문화유산 자료 조사』[2019] 등이 있다. 이밖에 정읍의 역사 문화 자원을 가사로 만든 노래 「녹두꽃 피던 그 자리」가 있다.

[현황]

정읍역사문화연구소는 역사학자를 비롯한 고고학자, 종교학자, 지리학자, 지역의 향토문화사학자들로 구성되었다. 이사장 1인, 부이사장 1인, 수석 연구원 1인, 사무국장[비상임] 1인, 연구원 10인 등 총 15인의 회원을 두고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