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재리 백양 당산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183
한자 長才里 白良 堂山祭
영어공식명칭 Baegyang Religious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 in Jangjae-ri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 장재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속 의례|마을 제사
의례 시기/일시 음력 2월 1일
신당/신체 당산거리[신당]|돌미륵[신체]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 장재리에서 음력 2월 초하루에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장재리 백양 당산제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 장재리 백양마을 주민들이 음력 2월 1일 새벽에 한 해의 풍농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체 의례이다. 백양마을 주민들은 음력 2월이 농사일이 시작되는 달이라서 2월 초하루에 당산제를 지낸다고 한다. 주민들은 제사를 지내는 날을 ‘사내기날’이라 부른다.

[연원 및 변천]

장재리 백양 당산제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음력 2월 1일 농사일의 시작을 기념하여 농사가 잘되고 주민들이 무병장수하기를 기원하고자 마을 수호신에게 올리는 제사이다. 과거에는 당골[무당]이 참여하였다고 하는데, 언제부터인가 마을 부녀자들이 주축이 되어 지내고 있다.

[신당/신체의 형태]

백양마을에는 수구맥이[수구막이] 목적으로 조성된 마을 숲이 있는데, 주민들은 마을 숲을 ‘당산거리’라고 부른다. 숲 한가운데에 낮은 키로 세워진 입석이 장재리 백양 당산제의 당산 신체인 돌미륵이다. 수구맥이 마을 숲의 주된 수종은 팽나무이다. 과거 20여 그루가 있었는데 마을 숲을 당산제 제단으로 정비하면서 상당수가 제거되었다.

돌미륵 당산의 신격은 당산할머니이다. 돌미륵은 과거 빈터에 입석만 드러나 있었는데, 현재는 돌미륵 근처를 정비하여 네모나게 둘레석을 두르고, 전면에 ‘당산할머님 제단’이라고 쓴 화강암 사각 제단을 설치하였다. 돌미륵은 과거 땅에 묻혀 있을 때는 지상 높이가 70㎝ 정도였는데, 지금은 기단 위에 세워지면서 땅에 묻혀 있던 부분이 드러나 키가 좀 커졌다. 돌미륵의 형태는 다듬은 흔적이 있는 직사각형 모양을 하고 있으며, 돌미륵 머리에는 볏짚으로 만든 유지뱅이[짚주저리]를 둥글게 씌워 벙거지를 쓴 모양이다. 유지뱅이 중간은 새끼로 허리띠를 둘렀다.

[절차]

정월 그믐날 동네 입구에 금줄을 치면서 당산제 절차에 돌입한다. 여자들은 깨끗한 남자들의 도움을 받아 정읍이나 인근 도시에서 장보기를 한다. 제물과 소지 종이, 돼지머리, 제기 등을 구매한다. 장에서 돌아오자마자 제물을 장만한다. 제물은 탕, 삼색과실, 팥밥, 생선 등으로 차린다.

당산제는 음력 이월 초하룻날 새벽 5시에 돌미륵 당산 앞에서 지낸다. 이때 제물을 차려 놓는 곳이 두 군데 더 있다. 돌미륵 당산 농삿길 건너편 쪽으로 도랑이 흐르는 곳에 유왕상[용왕상]을 차리고 또 마을 한가운데에 있는 모정(茅亭) 마루에도 차리어서, 제를 지내고 돌아오는 길에 소지 축원을 올린다.

제를 지내는 당일에는 깨끗한 남자들이 새벽 4시에 풍물굿을 치면서 제의 시작을 알린다. 장재리 백양 당산제는 여성 중심 의례이고, 남자들은 당산제 장소에서 풍물굿을 쳐 주는 정도의 역할만 한다. 풍물패는 동네 우물을 비롯한 각 장소를 돌면서 당산제의 시작을 알린 뒤 돌미륵 입석 당산으로 향한다. 여성들은 제물 외에도 각자 준비한 그릇에 쌀을 가득 담고 쌀에 촛불을 밝히고 소지 축원을 한다. 과거에는 당골이 당산제를 주관하였으며 당골이 각 가정의 대주를 호명하면서 소지 축원을 하였다고 한다. 당산제가 끝나면 동네 주민은 제물을 장만한 집으로 모여 음복하고 잔치를 벌인다.

[현황]

원래는 당산제 주체가 여성 중심이었으나 백양마을 여성들의 고령화로 심하여짐에 따라 주체가 남성들로 바뀌었고, 현재는 이장이 주관하고 있다. 2023년 현재는 남성들이 유교식 제사로 행함에 따라 소지 축원과 비손이 약화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