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공모작품집』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329
한자 漢詩公募作品集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연속 간행물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명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창간 시기/일시 1994년연표보기 - 『한시공모작품집』 창간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3년 - 『한시공모작품집』24호 발행
소장처 정읍문화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조곡천1길 1[연지동 252-151]
제작|간행처 정읍문화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조곡천1길 1[연지동 252-151]지도보기
성격 작품집
관련 인물 임남곤|김영수
창간인 임남곤
발행인 김영수
판형 국판
총호수 24호

[정의]

1994년부터 정읍문화원에서 주최하는 한시 공모전에 입상한 작품을 수록한 작품집.

[개설]

『한시공모작품집』은 1994년부터 2023년까지 정읍문화원에서 주최한 전국 단위 한시 공모전의 당선작과 응모작을 매년 전량 수록하여 발간하는 작품집이다.

[창간 경위]

『한시공모작품집』은 한문학의 비조(鼻祖)로 추앙받는 최치원(崔致遠)[857~?]의 영향 아래 정극인(丁克仁)[1401~1481], 신잠(申潛)[1491~1554], 이항(李恒)[1499~1576] 등의 유명한 한시 작가를 배출한 고장의 명맥을 잇고자 한시 공모전을 개최하고 작품집을 창간하였다. 조선 시대에 태인, 정읍, 고부의 시회에서 매년 백일장 대회를 열었던 전통을 계승하는 동시에, 동학농민혁명기념제의 일환으로 전국 한시 백일장을 개최하였으며, 한시 창작 풍조가 쇠퇴하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전국 단위 한시 공모전으로 확대하여 개최하고 있다.

[형태]

정읍문화원에서는 정읍의 주요 인물과 문화 유적지를 홍보하고자 시제와 압운으로 제시한 작품을 전국에서 공모한다. 심사를 거쳐 선정된 당선작과 응모작은 『한시공모작품집』에 수록된다. 수상자는 물론이고 미수상자까지 심사의 공정성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한시 창작법의 향상을 도모하는 장으로 삼고 있다.

[구성/내용]

『한시공모작품집』은 전통과 역사가 살아 숨 쉬는 고장인 정읍의 주요 인물과 문화 유적지에 대한 시제로 작품을 공모한 뒤, 당선된 작품과 응모 작품까지 수록하고 있다.

[변천과 현황]

『한시공모작품집』은 1994년 시작된 제1회 한시 작품 공모전부터 2023년 현재까지 동일한 형태로 매회 당선작과 응모작을 전량 수록하여 발행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한시공모작품집』은 정읍의 문학적 전통을 보존하고 계승하여 문향의 명맥을 되살리고, 정읍의 역사와 문화를 시제와 압운으로 제시하여 정읍을 홍보하는 기회로 삼고자 작품집을 발간하여 배포하고 있다. 정읍의 한문학사적 위상을 내외에 과시함과 동시에 한시 인구의 저변을 확대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