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내장문학』 이전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331
한자 井邑內藏文學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연속 간행물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명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창간 시기/일시 1980년 1월연표보기 - 『내장문학』 창간호 발행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7년연표보기 - 『내장문학』에서 『정읍내장문학』으로 제호 변경
소장처 한국문인협회 정읍지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제작|간행처 한국문인협회 정읍지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성격 문학 동인지
창간인 김동필
발행인 김동필|정태진|정렬|임남곤|김희선|최규환|김영술|은희태|김종성|장지홍|강광
판형 국판
총호수 41호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있는 한국문인협회 정읍지부에서 매년 발행하는 문학 동인지.

[개설]

『정읍내장문학』은 2023년 현재 한국문인협회 정읍지부인 정읍내장문학회(井邑內藏文學會)에서 발간하는 문학 동인지이다.

[창간 경위]

1979년 8월 26일 김동필, 김희선, 최재삼, 이윤구 등이 발기인 총회를 열고 내장문학동인회가 출범하였으며, 내장문학동인회는 1980년 1월 『내장문학』 창간호를 발행하였다. 1982년 9월 내장문학동인회를 기반으로 한국문인협회 정주지부가 발족되어 활동하던 중, 1995년 1월 1일 정주시정읍군이 통합되어 정읍시로 출범하자 한국문인협회 정읍지부로 이름을 바꾸었다.

[형태]

『정읍내장문학』은 국판의 판형에 회원별, 장르별 작품을 가나다 순으로 수록하고 있다.

[구성/내용]

『정읍내장문학』에는 한국문인협회 정읍지부 회원들의 작품[시, 수필]을 우선으로 싣고, 출향 인사나 초대 문인, 다른 지역 교류 문학회 회원들의 작품을 수록한 뒤 지부에서 시행한 그해의 상춘곡문학제 입선작을 수록하고 있다.

[변천과 현황]

『정읍내장문학』은 1980년 1월 『내장문학』을 제호로 창간되어 내장문학동인회의 동인지와 한국문인협회 정읍지부 기관지를 겸하여 발행하여 왔다. 그러다가 내장문학동인회가 2017년 정읍문학회와 통합을 발표하였고, 정읍문학회 동인지 『정읍문학』과 내장문학동인회 동인지 『내장문학』이 제호를 합쳐 『정읍내장문학』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정읍문학』이 별도로 발행되어 통합의 취지가 무산된 채 각자 동인지를 발행하고 있다. 지금은 내장문학동인지보다는 한국문인협회 정읍지부의 기관지 성격이 강하다. 2023년 현재 『정읍내장문학』의 발행인으로는 김동필, 정태진, 정렬, 임남곤, 김희선, 최규환, 김영술, 은희태, 김종성, 장지홍, 강광 등으로 이어오고 있다.

[의의와 평가]

정읍에서 가장 먼저 조직된 내장문학동인회의 동인지 『내장문학』은 한국문인협회 정읍지부가 결성되면서 동인회의 성격이 탈색되어 기관지로 성격이 바뀌었으나, 정읍 문인들의 발표 장소로 기능하면서 『정읍문학』과 상호 길항하며 문학 수준을 향상시키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