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088
한자 三洑平野
영어공식명칭 Sambopyeongya Plai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상평동|하모동|공평동|농소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봉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삼보평야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해당 지역 소재지 삼보평야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상평동|하모동|공평동|농소동지도보기
성격 평야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상평동에서 하모동, 공평동, 농소동에 걸쳐 있는 평야.

[명칭 유래]

삼보평야(三洑平野)의 ‘삼보’라는 지명은 정읍천에 있는 3개의 보에 가둔 물로 농사를 지었다고 하여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삼보는 바로 조곡천에 있던 3개의 보를 일컫는다. 조곡천은 정읍천의 지류이며 현재는 복개되어 눈에 띄지 않게 되었다. 제1보는 장명동 남쪽 현재 각시다리공원 자리에 있었던 각시다리 바로 아래 있었다고 하며, 제2보는 수성동 772-31번지에 현재도 흔적이 남아 있다. 제3보는 현재 연지동 정읍우체국 앞 회전 교차로에 있었으나 비교적 최근에 회전 교차로 공사와 함께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 인터넷 지도에서 정읍우체국 앞 회전 교차로의 예전 사진을 보면 제3보의 흔적을 볼 수 있다.

[자연환경]

삼보평야천원천에서 정읍천 사이와 호남선 철도 사이에 있다. 삼보평야의 북쪽으로는 초강평야가 있다. 남북으로 길게 뻗은 모양이며, 삼보평야 가운데를 정읍천이 가로지른다. 하모동에서는 입암 갈재에서 발원한 천원천정읍천에 합류한다. 상평동 남쪽에서는 까치봉 아래에서 발원한 용산천천원천에 합류하여 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현황]

과거 3개의 보를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하면서 별도의 도수로를 만들어 삼보평야에 농업용수를 공급하였으나, 현재는 조곡천은 복개로 농업용수 공급 기능을 상실하였고 정읍천의 물로 용수를 공급한다. 대부분의 농경지는 경지 정리되어 네모반듯한 모양이며, 대체로 논농사를 짓는다. 시설 재배하는 경지도 있으며, 봄에는 보리의 이모작을 하는 곳도 있다.

삼보평야는 정읍시의 동(洞) 지역에 자리하여 농경지의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정읍경찰서, 정읍시 농산물도매시장 등이 한복판에 자리잡고 있다. 호남고속국도삼보평야의 한가운데를 남북으로 뚫고 지나가며, 정읍IC가 연결되어 교통이 편리하다. 삼보평야의 동쪽 변에 호남선 정읍역이 있어 정읍 교통의 요지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