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정읍문화대전 > 정읍향토문화백과 > 삶의 내용(문화·교육) > 교육 > 유아·평생·특수 교육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있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기관. 유치원(幼稚園)은 만 3세부터 초등학교 취학 이전의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기관이다. 유치원은 설립 주체에 따라서 공립과 사립으로 구분한다. 공립 유치원은 공립 단설 유치원과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이 있으며 병설 유치원이 주를 이루고 있다. 사립 유치원은 개인이나 법인, 종교 단체 등 설립 주체에 따라서 유형이 다양하...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연지동에 있는 공립 단설 유치원. 원훈은 ‘꿈·사랑·생각이 자라는 행복한 유치원’이다. 추구하는 유아상은 ‘사랑하고 나눔과 배려를 아는 어린이, 건강하고 예의 바른 어린이’이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과교동에 있는 공립 특수 학교. ‘건강하고 긍정적인 자립인 육성’을 교육 방향으로 수립하고, ‘바르게 살아가는 생활인, 즐겁게 생활하는 정서인, 몸을 튼튼히 하는 건강인, 소질을 키워 가는 기능인, 스스로 해결하는 자주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할 수 있다, 스스로 하자!’이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 이루어지는 학교의 정규 교육 과정을 제외한 모든 형태의 조직적인 교육 활동. 일반적으로 평생교육은 ‘태아에서 무덤까지’ 평생을 통하여 계속되는 교육을 말하며, 한 개인의 생존 기간 전체에 걸쳐 이루어지는 교육을 수직적으로 통합하고, 가정·학교·직장·도서관 등 모든 장소와 교육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을 수평적으로 통합하여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고 변화하는...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수성동에 있는 평생학습 기관. 정읍시는 ‘단 한 사람도 소외되지 않는 평생학습 도시 으뜸 정읍(Learning for All Learning for Only One)’을 비전으로 삼고 있다. 개인의 자아실현, 사회적 통합 증진, 경제적 경쟁력이 향상되어 궁극적으로 시민 역량 강화 및 행복감 제고를 지향한다. 지역 사회 학습 공동체를 추구하는 총체적 도시 재구조...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동에 있는 야학교. 교육 목표는 ‘홍익인간의 교육 이념을 바탕으로 지역 사회 정규 학교 미진학자에게 검정고시를 통한 졸업 자격 부여 및 재사회화 과정을 통한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사고 함양’이다. 교훈은 ‘자립, 최선, 봉사’이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수성동에 있는 야학교. 장애인샘골야학교는 장애인과 학령기를 놓친 비장애인의 교육권을 수호하고 교육을 통한 역량 강화, 사회 참여 기회의 확대와 삶의 질 향상을 교육 목표로 두고 있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상동에 있는 어린이 교통안전 교육 시설. 정읍어린이교통공원은 교통안전에 대한 놀이와 체험 학습을 통하여 어린이들이 올바른 교통 문화를 정착할 수 있도록 건립하였다....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상동에 있는 교육 공동체. 샘고을집강소는 정읍 교육의 민관 협력 중간 지원 조직을 구축하기 위하여 모든 기관과 공동체의 사업과 활동을 연계하고, 지속 가능한 혁신 교육과 교육 공동체 구축을 지원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