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089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청수3길 22-5[시기동 235-9]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창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교 시기/일시 1984년 11월 26일연표보기 - 재정원광야학교 개교
이전 시기/일시 1991년 1월 2일 - 재정원광야학교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연지동 29-26 옛 연지동사무소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92년 5월연표보기 - 재정원광야학교에서 울림야학교로 개칭
이전 시기/일시 2004년 5월 20일 - 울림야학교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연지동 29-26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동 235-9 영산의 집으로 이전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 울림야학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성인 문해 교육 기관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3월 - 울림야학교 성인 문해 교육 거점 기관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10월 - 울림야학교 전라북도 지역 문해 교사 연수와 전국야학협의회 워크숍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10월 - 울림야학교 평생 학습 정읍시장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12월 - 울림야학교 평생 학습 유공자 표창 교육부장관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8년 - 울림야학교 전라북도교육청 학력 인정 문해 교육 기관 선정
주소 변경 이력 재정원광야학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연지시장2길 20[연지동 29-26] 옛 연지동사무소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울림야학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청수3길 22-5[시기동 235-9]
현 소재지 울림야학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청수3길 22-5[시기동 235-9]지도보기
성격 야학교
설립자 설립 당시 정읍에 거주한 원광대학교 재학생 20명
전화 063-531-6737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동에 있는 야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홍익인간의 교육 이념을 바탕으로 지역 사회 정규 학교 미진학자에게 검정고시를 통한 졸업 자격 부여 및 재사회화 과정을 통한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사고 함양’이다. 교훈은 ‘자립, 최선, 봉사’이다.

[변천]

울림야학교의 전신은 재정원광야학교이다. 재정원광야학교는 정읍에 거주하던 원광대학교 학생 20여 명이 의기투합하여 1984년 11월 26일 개교하였다. 초대 교장으로 최동렬이 취임하였다. 1991년 1월 2일 정읍시 연지동 29-26의 옛 연지동사무소로 이전하였다. 1992년 5월 재정원광야학교에서 울림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4년 5월 20일 정읍시 연지동 29-26에서 정읍시 시기동 235-9의 ‘영산의 집’으로 이전하였다. 영산의 집은 독립지사 영산(瀛山) 최태환(崔太煥)[1897~1984]이 살았던 집터에 유족들이 최태환의 호를 따서 지은 집이다. 최태환의 유족들은 울림야학교 학생들이 열악한 환경에서 글을 배운다는 소식을 듣고 영산의 집을 울림야학교에 제공하였다. 2004년 9월 1일 제2대 이수진 교장이 취임하였다.

2007년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성인 문해 교육 기관에 선정되었고 2010년 3월에는 성인 문해 교육 거점 기관에 선정되었다. 2010년 10월 전라북도 지역 문해 교사 연수와 전국야학협의회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2010년 10월 평생 학습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정읍시장상을 수상하였고 2010년 12월 평생 학습 유공자 표창 교육부장관상을 수상하였다. 2018년 전라북도교육청 학력 인정 문해 교육 기관에 선정되었다.

[교육 활동]

울림야학교는 정규 교육을 받지 못한 정읍 시민을 대상으로 오전반과 저녁반을 운영하고 있으며, 교육비는 무료이다. 오전반은 한글반과 초등반을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운영하고 있으며, 교육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정오까지이다. 저녁반은 한글반, 초등반, 중등반, 고등반을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운영하고 있으며, 교육 시간은 오후 7시부터 오후 9시까지이다.

[현황]

울림야학교는 개교 이래 320명의 교사가 자원 활동을 하였고 630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2023년 현재 졸업생 중 초등학교 졸업 자격 검정고시에 70명, 중학교 졸업 자격 검정고시에 182명, 고등학교 졸업 자격 검정고시에 210명이 합격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