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두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030
한자 象頭山
영어공식명칭 Sangdusa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옹동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유승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상두산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김제시
해당 지역 소재지 상두산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 상두리|옹동면 상산리지도보기
성격
높이 574.3m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 상두리, 옹동면 상산리와 김제시 금산면 선동리에 걸쳐 있는 산.

[명칭 유래]

상두산(象頭山)은 석가모니가 수행하던 인도의 불교 성지인 상두산에서 유래한 지명이라고 하며, 또는 생김새가 코끼리 머리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1737년 『광여도(廣輿圖)』 금구현 지도와 1872년 태인현 지도에 ‘상두산’으로 기재되어 있다.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영천사와 상두사가 상두산에 있다는 기록이 있다. 이후 『대동지지(大東地志)』에 금구[지금의 김제시] 경계에 있는 산으로 나오는 등 여러 지리지에 수록되어 있다. 『해동지도(海東地圖)』에 읍치 북쪽 산외면상두산이 상두사와 함께 묘사되어 있는 것을 비롯하여 『호남지도(湖南地圖)』,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등에 태인과 금구 경계에 산이 기재되어 있다.

[자연환경]

상두산은 중생대 쥐라기에 관입한 대보 엽리상 화강암의 지질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두산의 산줄기는 북쪽으로 국사봉과 모악산, 남쪽으로 비봉산과 항가산, 성황산[태인면], 서쪽으로 천애산으로 연결된다. 상두산 남쪽 사면에서 동곡천과 상두천이 발원하여 남류하다가 동진강에 합류하고, 상두산 서쪽 사면 옹동면 상산리에서 용호천이 발원하여 흐르다가 동진강으로 합류한다.

[현황]

상두산정읍시 산외면 상두리, 옹동면 상산리와 김제시 금산면 선동리에 걸쳐 있는 높이 574.3m의 산이다. 경위도상으로는 북위 35° 40′ 00.70", 동경 127° 02′ 01.06"이다. 상두산 정상에는 화강암 바위가 드러나 있으며 삼각점과 등산로 안내판이 있다. 조망이 좋아 날씨가 맑으면 서해가 보인다. 상두산 북쪽은 김제시 금산면, 남쪽은 정읍시 산외면, 서쪽은 정읍시 옹동면 소재지가 자리하고 있다.

상두산 등산은 상두마을회관을 출발점으로 삼아 오르거나 동곡리 용두교를 출발점으로 하여 체계산 팔각정을 거쳐 능선을 타고 오른다. 호남고속국도, 국도 제1호, 국도 제30호, 지방도 제49호를 통하여 접근이 가능하다. 상두산 서쪽 사면 옹동면 상산리에는 메타세쿼이아 산책길이 있는 상두산 자연휴양림과 절벽처럼 하얀 절개지가 드러난 토석 채취장이 있다. 상두산정읍시 산외면 동곡리에도 산자락이 걸쳐 있는데, 동곡리 지금실마을은 동학농민군 총관령이었던 김개남(金開男)이 태어난 곳이며, 산기슭에 김개남의 허묘(虛墓)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