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031 |
---|---|
한자 | 斗升山 |
영어공식명칭 | Duseungsan |
이칭/별칭 | 도순산,영주산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흑암동|용계동|고부면|덕천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유승상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흑암동, 용계동, 고부면, 덕천면에 걸쳐 있는 산.
[명칭 유래]
두승산(斗升山)은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의하면 최고봉에 돌말[石斗]과 돌되[石升]가 있어 ‘두승산’이라 하였다고 한다. 두승산의 다른 이름은 도순산(都順山), 영주산(瀛州山)이었으며, 부안의 변산, 고창의 방장산과 함께 ‘호남의 삼신산’으로 불렸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해동지도(海東地圖)』, 『광여도(廣輿圖)』 등에 두승산이 표기되어 있다.
[자연환경]
두승산은 중생대 쥐라기에 형성된 백운모-흑운모 화강암으로 형성되어 있다. 두승산 산줄기는 남동쪽에서 북서쪽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길게 뻗어 있고, 북동쪽은 가파르며 북쪽으로는 천태산(天台山)과 이어진다. 두승산 말봉은 사방이 트여 있다. 동쪽으로 정읍 시가지가 보이며, 남쪽으로 호남정맥 내장산에서 뻗어 나온 입암산과 방장산의 산줄기가 보인다. 두승산의 물줄기는 북쪽으로 덕천천, 서쪽으로 고부천, 동쪽으로 정읍천으로 흘러 동진강에 합류한다.
[현황]
두승산은 정읍시 흑암동과 용계동, 고부면 입석리·남복리·만수리·장문리, 덕천면 상학리·하학리에 걸쳐 있는 높이 445.1m의 산이다. 경위도상으로는 북위 35° 36′ 23.75", 동경 126° 47′ 54.63"이다. 두승산은 9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졌는데, 2021년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행한 『1:5,000 수치 지형도』에 의하면 가장 높은 봉우리는 말봉[445.1m]이다. 말봉 정상에 오르면 ‘수두목승(水斗木升)’이라는 명문과 자연석을 둥글게 원형으로 다듬어 깎은 뒤 가운데에 네모진 모양으로 조각하여 놓은 석각이 있다. 석각 오른쪽에는 ‘망선대(望仙坮)’, ‘축천대(祝天坮)’ 글자가 새겨진 바위가 있다. 두승산 상봉에는 ‘두승산 444m’라고 쓰인 표지판이 있고, 말봉에는 높이나 정상임을 알려 주는 표지판이 없다.
두승산 북서쪽 능선에는 유선사(遊仙寺)가 있으며,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두승산성(斗升山城)이 남쪽 산 중턱에 남아 있다. 두승산 산행은 유선사 주차장에서 시작하여 정상으로 가는 방법이 있다. 그 외 고부면 입석리, 고부면 만수리 상만마을, 덕천면 상학리, 흑암동에서 오르는 등 다양한 등산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