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038
한자 城隍山[永元面]
영어공식명칭 Seonghwangsa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고부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유승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성황산[영원면]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해당 지역 소재지 성황산[영원면]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장문리|영원면 후지리지도보기
성격
높이 133.8m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장문리영원면 후지리 경계에 있는 산.

[명칭 유래]

성황산(城隍山)[영원면]은 성황당이 있어 유래한 것이라 전한다.

[자연환경]

성황산[영원면]은 중생대 쥐라기 중기에 형성된 백운모-흑운모 화강암에 해당한다. 동쪽으로 두승산, 남쪽으로 남산, 신고산으로 이어지며 대부분 낮은 구릉을 형성한다. 성황산 서쪽으로 고부천과 함께 제4기 충적층이 발달하여 넓은 평야 지대가 분포한다.

[현황]

성황산정읍시 고부면 장문리영원면 후지리의 경계를 이루는 높이 133.8m의 산이다. 경위도상으로는 북위 35° 37' 33.70", 동경 126° 46' 15.46"이다. 성황산 정상에는 사적 정읍 고사부리성(井邑 古沙夫里城)이 있다. 정읍 고사부리성은 발굴 조사 결과 백제 시대에 축조되었고, 백제 시대 지방 통치의 중심인 오방(五方) 중 하나인 중방성(中方城)으로 사용된 이후 조선 시대 1765년(영조 41)까지 읍성으로 이용되었다. 성황산 남쪽으로는 고부향교고부초등학교, 고부면 행정복지센터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