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041
한자 天台山
영어공식명칭 Cheontaesan
이칭/별칭 천마산(天馬山)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이평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유승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천태산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해당 지역 소재지 천태산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 운학리|이평면 산매리지도보기
성격
높이 197.2m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 운학리이평면 산매리에 걸쳐 있는 산.

[명칭 유래]

천태산(天台山)의 지명 유래는 전하지 않는다. 다만 은선리, 운학리, 도계리, 영원(瀛原), 갈선 등의 지명과 천태산 주변에 널려 있는 백제 시대 굴식 돌방 무덤군 등으로 미루어 백제의 신선 사상과 중국의 도교 성지 천태산과 관련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국 지명 총람』에는 천마산(天馬山)으로도 소개되어 있다.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천태산은 군의 동쪽 10리[약 3.93㎞]에 있다”라는 기록이 있다. 『동여도(東輿圖)』에 고부 읍치 북동쪽, 달천 서편에 천태산이 묘사되어 있으며,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1872년 지방지도』 등에도 천태산이 표기되어 있다.

[자연환경]

천태산은 중생대 쥐라기 백운모-흑운모 화강암에 해당한다. 두승지맥으로 두승산에서 뻗어 내린 산줄기가 천태산으로 이어진다. 천태산에서 발원한 하천은 덕천천으로 흘러 고부천을 통하여 동진강으로 합류한다. 서쪽으로 구릉 지대와 제4기 충적층의 넓은 평야가 분포한다. 채석장으로 인하여 천태산 일부가 훼손되어 있다.

[현황]

천태산정읍시 영원면 운학리이평면 산매리에 걸쳐 있는 높이 197.2m의 산이다. 경위도상으로는 북위 35° 38' 53.70", 동경 126° 48' 06.31"이다. 천태산에는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사적]이 있다. 모두 275기의 횡혈식 석실 고분이 있고 이 중 56기가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백제 웅진기에서 사비기 사이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천태산 정상에 운동 기구와 표고점이 있다. 천태산 동쪽 사면에는 백운암백운암석불입상[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이 있다. 기우제를 지냈다는 무제봉, 정읍 은선리 삼층석탑[보물], 간재 전우와 양재 권순명을 모신 태산사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